쌀쌀해지는 날씨 한방감기약 한방보험감기약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청룡탕 형개연교탕 갈근탕 연교패독산
작성자 정보
- 익명희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4 조회
-
목록
본문

소청룡탕(小靑龍湯)이란?
소청룡탕은 《상한론(傷寒論)》에서 유래한 처방으로,
**“몸은 냉하면서도 기관지에 수분(담)이 많은 감기,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에 사용됩니다.
즉, 차가운 감기 + 콧물 + 기침 + 가래 + 천식 증상에 잘 맞는 약입니다.
콧물감기 | 맑은 콧물이 줄줄 흐르고 코막힘이 심할 때
기침·가래 | 맑고 묽은 가래가 많고 차가운 느낌의 기침
알레르기 비염 | 아침·저녁으로 재채기, 콧물, 코막힘
천식 | 찬 공기나 먼지에 예민하게 기침·쌕쌕거림
냉증형 감기 | 몸이 차고 으슬으슬 떨리며 가슴이 답답할 때
복용 시 주의사항
**열이 많고 목이 붓는 감기(열성 감기)**에는 맞지 않습니다.
→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체질적으로 열이 많은 사람이나 입이 마르고 얼굴이 붉은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관지가 찬 사람, 맑은 콧물형 감기, 찬바람 맞고 기침이 시작된 경우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은 《의학입문(醫學入門)》과 《동의보감(東醫寶鑑)》 등에 수록된 처방으로,
기본적으로 피부에 열이 몰리고 염증이 생긴 경우, 즉 열독(熱毒) 상태를 다스리는 약입니다.
“피부에 열이 올라 얼굴에 트러블이 생기거나, 염증성 여드름이 반복되는 사람”에게 자주 사용됩니다.
주요 효능
피부 트러블 완화: 여드름, 화농성 뾰루지, 모낭염, 종기 등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초기 염증 완화
두피 트러블이나 피지 과다로 인한 붉은 발진
목이 자주 붓고 열이 나는 경우
감기 후 열감과 두통이 남는 경우
요약하자면, “몸 속의 열과 독(炎毒)을 내려 피부나 점막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청열·해독제”입니다.
복용 시 주의사항
체질적으로 **몸이 찬 사람(냉증형)**은 복용 시 복부 냉감이나 설사를 느낄 수 있습니다.
피부가 건조하고 열감이 없는 경우에는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장기 복용보다는 피부 염증이 활발할 때 단기 복용이 일반적입니다.
위장이 약하거나 식욕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한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갈근탕(葛根湯, Ge Gen Tang)은 감기 초기 증상이나 근육통, 두통 등에 자주 사용되는 한방 처방이에요.
중국의 고전 의서인 《상한론(傷寒論)》에서 유래한, 가장 대표적인 초기감기 처방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효능
감기 초기에 뒷목과 어깨가 뻣뻣하고 두통이 있을 때
오한(추위를 느낌), 발열, 근육통, 몸살
땀이 잘 안 나면서 열이 있는 경우
초기 두통, 코막힘, 가벼운 기침, 뻣뻣한 어깨통증
즉, **“몸이 으슬으슬하고 뒷목이 뻣뻣한 감기 초기에 가장 적합한 처방”**입니다.
복용 시기와 주의사항
감기 초기에 뒷목이 뻣뻣하고 땀이 안 날 때 복용하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미 땀이 많이 나는 상태에서는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체력이 약하거나 열이 많은 체질은 한의사 상담 후 복용이 권장됩니다.
시중에 ‘갈근탕 과립제’, ‘갈근탕엑스’ 형태로 약국에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은 《의방유취(醫方類聚)》에 수록된 처방으로,
이름 그대로 **연교(連翹)**가 중심이 되어 “열(熱)을 내리고 독(毒)을 해소하는” 효능을 가집니다.
즉, 외부 감염으로 인한 열성 감기, 인후통, 여드름, 종기, 염증성 질환에 자주 사용됩니다.
주요 효능
열감과 오한이 함께 있는 초기 감기
인후통, 편도염, 열감이 있는 감기
피부 트러블(여드름, 종기, 염증성 붉은 발진)
면역력 저하로 인한 염증
몸이 무겁고 두통, 몸살, 기침, 가래가 동반될 때
요약하면
“몸에 열이 나고 염증이 생긴 감기나 피부 질환에 쓰이는 해열·해독제 성격의 한방 처방”입니다.
복용 시 주의사항
**체질적으로 찬 사람(냉증형)**은 주의해야 합니다.
→ 이 처방은 열을 내리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몸이 찬 사람에게는 맞지 않습니다.
몸이 약하고 열이 없는 감기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위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 시 속쓰림이나 식욕 저하가 생길 수 있으므로 한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