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2

안검하수 동안신경마비의 도침치료와 관련된 한의학 논문을 알아봅니다.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https://www.jkmst.org/journal/view.html?pn=search&uid=68&vmd=Full&pn=search&all_k=손덕칭&

7d532764b24b30a6ad597173d976a10ca11971f7wqa8.png

A Case Report of Acupotomy Treatment on the Oculomotor Nerve Palsy Patient동안신경마비 침도 치험 1례

 

 

 

Background: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report the effect of Acupotomy on Oculomotor Nerve Palsy.
Methods: A 78-year-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Oculomotor Nerve Palsy and complained of Diplopia, right eye movement disorder. This patient received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anterior border of posterior tubercle of cervical transverse process, upper border of right zygomatic arch, right Jingming acupoint (BL1).
Results: As a result of 20 acupotomy treatments from November 14 to February 20, adduction in the right eye completely improved, and the diplopia which occurred when looking to the left also disappear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cupotomy treatment may be effective in eye movement disorder caused by oculomoter nerve palsy and diplopia.

 

 

치료방법

 

*침도치료

(1) 우측 경추 횡돌기 후결절 전연

측와위 상태로 경추 우측면 정중선(관상면) 중점에서 경추 4번 횡돌기를 찾고, 침도는 관상면과 평행 상태로 피부를 절개후직자하여 3-4 cm 가량 진침하고 횡돌기 후결절에 bone touch 후 침도를 90도 회전시켜 유착된 조직에서 3-4회 절개하였다. 경추 3번 횡돌기도 동일하게 시술하였다.

(2) 우측 관골궁 상연

관골의 전두돌기(안와 외측부위)와 관골궁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위로 1횡지, 뒤로 1횡지 부위에서 전하방으로 45도 각도로 3-4 cm 진침하여 유착된 조직이 느껴지면 가볍게 2-3회 절개하였다.

(3) 우측 정명혈

손가락으로 안구를 바깥쪽으로 가볍게 눌러 진침할 틈을 넓히면서 안구를 고정시키고, 눈 내자의 외상방 0.1촌 함몰부위에 절개, 직자하되 안와 내측벽을 연하여 5도 정도 외측방향으로 미세하게 사자하면서 1.5-2 cm 정도 진침하되, 저항에 부딪혔을 때는 침 방향을 조정하거나 퇴침 하였다.

2b6eedf4bd51ce1f3c51b1276d503a7b408d1313h9de.png

 

저자들은 A의 위치가 상관혈과는 다르다고 판단하고 태양혈의 위치와 같은 위치다라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5ef27cbc59dc4a9fb762980ab221529ec7369888u30b.png5f9be500b6577c645e5fedb1a8ecc0103ecb4298ep76.png

동안신경마비에대한 침구치료 논문이 국내외에서 다수 보고되었는데, X. Zhang 등이 침치료의 효과를 보고한 동안신경마비 논문 중 정량적분석을 시행한 18편을 살펴본 결과 정명(睛明, BL1), 태양(太陽,EX-HN5) 등이 다빈도로 사용되었다고 보고12)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관골궁 상연은 태양(太陽,EX-HN5)과 같은 위치이나 자침 방향이 전하방 45도로 inferior orbital fissure 주변의 유착조직을 절개하는것이 목적13)이다. 해당 부위에는 교감신경이 지나가므로 유착된 조직이 송해되면서 동안신경에 혈액공급을 하는 미세혈관의 혈류장애가 개선되어 마비된 내전근도 회복될 것을 기대하고 사용하였다.

 

경추횡돌기 표면에는 교감신경절이 위치하며, 해당부위의 유착된 조직이 송해되면눈 주위 미세혈관의 혈액 공급이 개선되고 염증반응이 완화되어, 동안신경의 기능도 회복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13), 마침 본 증례의 환자는 환측 경추 3-4번 횡돌기에 유착조직이 단단하게 촉지되어 해당 부위를 취혈하게 되었다.

정명(睛明, BL1)을 직자 해 자입하면 피부, 피하조직, 안검내측인대, 내측직근, 안구지방체 순서로 자입된다. 또한,침의 상방으로는 안동맥, 전사골동맥 등이 지나간다14). 해당 부위를 자입하면 마비된 내전근을 자극하여 외사시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어15)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볼 때 침도 치료는 동안신경마비 환자에게 권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부신피질호르몬제의 부작용이 발생했거나 효과가 미비할 때, 수술 후유증에 대한 우려 혹은 수술을 못하는 상황 등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증례는 1례로 적은 수의 표본을 가지고 있어 일반화할 수 없지만 서의학적 치료나 한약 치료가 병행되지 않고 침도 치료만으로 동안신경마비를 치료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번 증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증례 보고와 임상 연구, 대조군 연구 등이 필요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