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2

장요인대증후군, 후관절 경막의 통증패턴, iliolumbar ligament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e2358d2f1864b2d9c0fd2d58f677343a10e1a7b27uq.png947cde26367e6a5217e395bf124495638ab80a581mbs.png

 

인대는 내측 부착에서 외측으로 뻗어 있으며  옆으로 방사됩니다. 흉요추 근막의 전방 및 중간 층의 두꺼워진 하부 경계를 나타냅니다. 하방으로, 인대는 요천추 인대와 부분적으로 연속되어 있습니다 (장요추 인대의 하부 세분으로 간주 될 수 있음)

 

내측
인대의 내측 부착은 요추 L5의 횡돌기의 정점 및 앞쪽 하단에 있습니다(때로는 L4의 횡돌기에 추가로 약한 부착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측면
측면으로 인대는 장골 크레스트의 안쪽 lip 뒤쪽 부분에 부착됩니다. 더 정확하게는 두 개의 주요 밴드에 의해 측면 부착이 이루어집니다.

 

 

 

 

aea8e0ceb380113760384eca53c189203d0d999bunq5.png

 

장요인대가 요-천추 접합부의 안정 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장요인대의 배열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때 제5 요추-제1 천추 간 추간판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큼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며, 장요인대의 형태 중 길이보다는 배열이 제5 요 추-제1 천추 추간판의 안정성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ac374cbfc580e617a8af83e9295ad31578279e3emlhg.png

 

abc90d3f2bab6b8becec749f0fa1586ca2b234aa32h7.png

 

 

54fad4c2be1048fea860df677e9c350c21a9c434pxke.pn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