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낭성난소증후군(PCOS) 및 당-지질에 관한 자료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114 조회
- 목록
본문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당-지질대사 이상에 대한 한약 임상 연구 고찰
A Study on the Clinical Study of Herbal Medicine for Glucose-Lipid Metabolism Abnormalities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박수연 ( Su-yeon Park ) , 박경덕 ( Kyung-dug Park ) , 윤영진 ( Young-jin Yoon )
- 발행기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 간행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32권4호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glucose and lipid metabolic abnormalities caused by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We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s) in 6 electronic databases and search key words were ‘PCOS’ and ‘chinese medicine’ or ‘herbal medicine’ and ‘Metabolic syndrome’ or ‘glucose’ or ‘lipid’.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by using Cochrane risk of bias (RoB) tool. Results: We finally selected 7 studies. In 3 of selected studies, herbal medicine was more effective than western medicine in all outcomes and in other 3 selected studies, herbal medicine was partially more effective than western medicine.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s a basis for applying herbal medicine treatment to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PCOS and helps developing a treatment protocol of caring patients with PCOS. Bu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umber of studies included is small and lack of uniformity of outcome indicators made it difficult to observe overall interrelationship between indicator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낭성 난소증후군(PCOS)으로 인한 당 및 지질대사 이상에 대한 한방치료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우리는 6개의 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RCT)을 검색했고 검색 키워드는 'PCOS'와 '한의학' 또는 '한의학'과 '대사증후군' 또는 '포도당' 또는 '지질'이었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Cochrane RoB(편향 위험도) 도구를 사용하여 편향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우리는 7개의 연구를 선택했습니다. 선정된 3개 연구에서는 모든 결과에서 한약이 서양의학보다 더 효과적이었고, 나머지 3개 연구에서는 한약이 서양의학보다 부분적으로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결론: 이번 연구는 PCOS로 인한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한방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PCOS로 환자를 돌보는 치료 프로토콜 개발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는 포함된 연구의 수가 적고 결과 지표의 균일성이 부족하여 지표들 간의 전반적인 상호관계를 관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Lipid metabolism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ossible implications for an increase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uthor links open overlay panelLars-ÅkeMattssonM.D.†‡GöranCullbergM.D.†LarsHambergerM.D., Ph.D.§GöranSamsioeM.D., Ph.D.§GunnarSilfverstolpeM.D., Ph.D.§
University of Göteborg, East Hospital, and Sahlgren’s Hospital, Göteborg, Sweden
Received 1 February 1984, Revised 12 June 1984, Accepted 12 June 1984, Available online 6 May 2016, Version of Record 6 May 2016.
This study reports values of serum lipids, lipoproteins, and the relative fatty acid composition of lecithin and cholesterol ester in 20 women with typical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values of 22 regularly menstruating women without clinical evidence of androgen excess.
Higher levels of triglycerides in serum (P < 0.05) and very low-density lipoproteins (P < 0.01) and lower concentrations of free cholesterol in low-density lipoproteins (P < 0.05) were found in the PCO women. In serum lecithin the PCO patients had higher palmitic and lower stearic acid levels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women. This finding was interpreted as a reduction of the excretory capacity of the liver in the PCO group.
No correlations between lipids and sex hormones were found. Body weights and blood pressures were higher in the PCO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PCO women could be at increased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because an increased serum triglyceride level,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are considered to be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이 연구는 전형적인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을 앓고있는 20 명의 여성에서 혈청 지질, 지단백질 및 레시틴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상대적 지방산 조성의 값을보고합니다. 이 값은 안드로겐 과잉의 임상 증거없이 정기적으로 월경하는 여성 22 명의 값과 비교되었습니다.
혈청 중의 더 높은 수준의 트리글리세라이드 (P<0.05) 및 매우 낮은 밀도 지단백질 (P<0.01) 및 저밀도 지단백질 (P<0.05)에서 낮은 농도의 유리 콜레스테롤이 PCO 여성에서 발견되었다. 혈청 레시틴에서 PCO 환자는 정상 여성의 환자에 비해 팔미트산이 높고 스테아르산 수치가 낮았다. 이 발견은 PCO 그룹에서 간 배설 능력의 감소로 해석되었다.
지질과 성 호르몬 사이의 상관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체중과 혈압은 PCO 그룹에서 더 높았다. 결과는 PCO 여성이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이 증가 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증가 된 혈청 트리글리 세라이드 수준, 체중 및 혈압이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Polycystic ovaries and associated metabolic abnormalities in Indian subcontinent Asian women
D. A. Rodin,G. Bano,J. M. Bland,K. Taylor,S. S. Nussey
First published: 04 May 2004 https://doi.org/10.1046/j.1365-2265.1998.00492.xCitations: 100
OBJECTIVE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polycystic ovaries (PCO) in Asian women living in England who are of Indian subcontinent origin or ancestr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PCO and/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and insulin sensitivity and other metabolic parameters.
DESIGN
A random sample of Indian subcontinent Asian women was obtained from the lists of local General Practitioners and a translating service. These women were invited to attend for a medical history questionnaire, examination, venous blood sample for hormonal assessment and transvaginal ovarian ultrasonography. Groups of women without PCO or NIDDM, with NIDDM but not PCO, with PCO but not NIDDM and with both NIDDM and PCO were drawn at random from this population and from Indian subcontinent Asian women attending the Diabetes Unit. They underwent further studies, including measurement of insulin sensitivity using a short intravenous insulin tolerance test.
SUBJECTS
212 Indian subcontinent Asian women aged 18–40 took part in the initial study. Insulin sensitivity was measured in 13 women without PCO or NIDDM, 13 women with NIDDM but not PCO, 15 women with PCO but not NIDDM and 12 women with both NIDDM and PCO.
MEASUREMENTS
The main outcome measures were prevalence of polycystic ovaries, clinical features of hyperandrogenism, fertility, blood pressure, serum gonadotrophins, testosterone and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fasting blood lipids, glucose and insulin, and insulin sensitiv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PCO in Indian subcontinent Asian women was 52% (110/212).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PCO and menstrual irregularity; infertility; the Ferriman and Gallwey score for body hair distribution; the presence of acanthosis nigricans and the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women with PCO and those with normal ovarian morphology with respect to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total, HDL and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The subgroup of women without PCO or NIDDM had the highest insulin sensitivity (189.1 ± 46.4 μmol glucose/l/min, mean ± SD) and the women with both PCO and NIDDM had the lowest insulin sensitivity (80.5 ± 30.9 μmol glucose/l/m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sulin sensitivity between those with PCO but not NIDDM (125.0 ± 59.5 μmol glucose/l/min) and those with NIDDM but not PCO (120.8 + 38.0 μmol glucose/l/min). The effects of NIDDM and PCO on insulin sensitivity were independent; the effect of PCO on insulin sensitivity was −60 μmol glucose/l/min (95% confidence interval −100 to −21, P = 0.004) and the effect of NIDDM was −68 μmol glucose/l/min (95% confidence interval −105 to −31, P < 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insulin sensitivity and fasting plasma insulin, systolic or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serum cholesterol or triglyceride.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polycystic ovaries in Indian subcontinent Asian women is very high and it has significant clinical associations. Polycystic ovaries and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re associated with similar degrees of reduced insulin sensitivity in this population. Their effects are independent suggesting that these changes in insulin sensitivity involve different mechanisms. Polycystic ovaries unlike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re not associated with a defect in the secretion of insulin.
목표
인도 아대륙 기원 또는 조상 인 영국에 거주하는 아시아 여성에서 다낭성 난소 (PCO)의 유병률을 확인하고 PCO 및 / 또는 비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NIDDM)의 존재와 인슐린 민감성 및 기타 대사 매개 변수 간의 관계를 조사합니다.
디자인
인도 아대륙 아시아 여성의 무작위 샘플은 현지 일반 실무자 목록과 번역 서비스에서 얻어졌습니다. 이 여성들은 병력 설문지, 검사, 호르몬 평가를위한 정맥 혈액 샘플 및 질내 난소 초음파 검사에 참석하도록 초대되었습니다. PCO 또는 NIDDM이없는 여성 그룹, NIDDM이 있지만 PCO는 없지만 PCDDM과 NIDDM과 PCO가 모두 당뇨병 유닛에 참석하는 인도 아대륙 아시아 여성으로부터 무작위로 그려졌습니다. 그들은 짧은 정맥 내 인슐린 내성 검사를 사용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측정하는 등 추가 연구를 거쳤습니다.
주제
212 인도 아대륙 아시아 여성 18-40 세가 초기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인슐린 감수성은 PCO 또는 NIDDM이 없는 여성 13명, NIDDM을 앓고 있지만 PCO는 아닌 여성 13명, PCO를 앓고 있지만 NIDDM을 가진 여성은 15명, NIDDM 및 PCO를 모두 가진 여성 12명에서 측정되었다.
측정
주요 결과 측정은 다낭성 난소의 유병률, hyperandrogenism의 임상 적 특징, 불임, 혈압, 혈청 성선 자극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및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 공복 혈중 지질, 포도당 및 인슐린 및 인슐린 민감성이었습니다.
결과
인도 아대륙 아시아 여성에서 PCO의 유병률은 52 % (110/212)이었다. PCO와 생리 불순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성이있었습니다. 불임; 체모 분포에 대한 Ferriman 및 Gallwey 점수; acanthosis nigricans의 존재와 공복 혈당 농도. PCO를 앓고있는 여성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공복 총계, HDL 및 L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 세라이드 농도와 관련하여 정상적인 난소 형태를 가진 여성간에 차이가 없었습니다. PCO 또는 NIDDM이없는 여성의 하위 그룹은 가장 높은 인슐린 민감도 (189.1 ± 46.4 μmol glucose / l / min, 평균 ± SD)를 보였고 PCO와 NIDDM을 모두 가진 여성은 인슐린 민감도가 가장 낮았습니다 (80.5 ± 30.9 μmol 포도당 / l / 분). PCO를 가지고 있지만 NIDDM (125.0 ± 59.5 μmol 글루코스 / l / 분)을 가진 사람들과 NIDDM을 가지고 있지만 PCO가 아닌 사람들 (120.8 + 38.0 μmol glucose / l / min)은 인슐린 감수성에서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NIDDM 및 PCO의 효과는 독립적이었다;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PCO의 효과는 -60 μmol 글루코스/l/분(95% 신뢰구간 -100 내지 -21, P = 0.004) 이었고, NIDMM의 효과는 -68 μmol 글루코스/l/분(95% 신뢰구간 -105 내지 -31, P< 0.001)이었다. 인슐린 감수성과 공복 혈장 인슐린, 수축기 또는 이완기 혈압, 공복 혈청 콜레스테롤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결론
인도 아대륙 아시아 여성에서 다낭성 난소의 유병률은 매우 높으며 상당한 임상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낭성 난소 및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이 집단에서 인슐린 민감성 감소의 유사한 정도와 연관된다. 그들의 효과는 인슐린 감수성의 이러한 변화가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독립적입니다. 다낭성 난소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과 달리, 인슐린 분비의 결함과 관련이 없다.
Adolescent girl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showing different phenotypes have a different metabolic profile associated with increasing androgen levels
Author links open overlay panelFrancaFruzzettiM.D., Ph.DDariaPeriniM.D., Ph.D.VeronicaLazzariniM.D., Ph.D.DonatellaParriniM.D.Andrea R.GenazzaniM.D., Ph.D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niversity of Pisa, Pisa, Italy
Received 12 February 2008, Revised 27 May 2008, Accepted 4 June 2008, Available online 15 August 2008.
Objective
To evaluate the metabolic profiles of adolescents with different phenotype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Design
Observational study.
Setting
University outpatient clinic.
Patient(s)
Adolescents with PCOS (n = 120)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ligomenorrhea and hirsutism (O-H, n = 50), oligomenorrhea, hirsutism, and polycystic ovaries (PCO-O-H, n = 22), oligomenorrhea, hirsutism, and hyperandrogenemia (A-O-H, n = 28), oligomenorrhea, and hirsutism, hyperandrogenemia, and polycystic ovaries (PCO-A-O-H, n = 20). A control group of age-matched adolescents (n = 30) was included.
Intervention(s)
Subjects underwent physical and ultrasound evaluations; fasting blood samples were taken for the measurement of endocrine and metabolic parameters.
Main Outcome Measure(s)
The endocrine and metabolic profiles were evaluated.
Result(s)
Adolescents with PCOS showed reduced insulin sensitivity and dyslipidemia. Triglycerides, and tota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re higher in the phenotypes with hyperandrogenemia. Insulin resistance and body mass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COS phenotypes. Triglyceride positively and high-density lipoportein cholesterol level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ee testosterone and free androgen index.
Conclusion(s)
The risk of metabolic alterations may vary in adolescent PCOS patients with different phenotypes. Hyperandrogenemia is a risk factor for dyslipidemia. This information may be of relevance in counseling adolescents with PCOS.
목적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의 표현형이 다른 청소년의 대사 프로필을 평가합니다.
디자인
관찰 연구.
설정
대학 외래 진료소.
환자(들)
PCOS (n = 120)를 가진 청소년은 네 그룹으로 나뉘어졌습니다 : oligomenorrhea 및 hirsutism (O-H, n = 50), oligomenorrhea, hirsutism 및 다낭성 난소 (PCO-O-H, n = 22), oligomerrhea, hirsutism 및 hyperandrogenemia (A-O-H, n = 28), oligomenorrhea, and hirsutism, hyperandrogenemia 및 다낭성 난소 (PCO-A-O-H, n = 20). 연령-매칭된 청소년의 대조군(n=30)이 포함되었다.
개입
피험자는 신체 및 초음파 평가를 받았다. 공복 혈액 샘플을 내분비 및 대사 파라미터의 측정을 위해 취하였다.
주요 결과 측정
내분비 및 대사 프로파일을 평가하였다.
결과(들)
PCOS를 앓고있는 청소년은 인슐린 민감성과 이상 지질 혈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총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고안드로겐혈증을 갖는 표현형에서 더 높았다. 인슐린 저항성 및 체질량 지수는 PCOS 표현형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긍정적이고 고밀도 리포포르테인 콜레스테롤 수치 는 유리 테스토스테론 및 유리 안드로겐 지수와 부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결론
대사 변화의 위험은 표현형이 다른 청소년 PCOS 환자에서 다를 수 있습니다. Hyperandrogenemia는 이상지질혈증의 위험 인자입니다. 이 정보는 PCOS로 청소년을 상담하는 데 관련이있을 수 있습니다.
Effects of Curcumin on Glycemic Control and Lipid Profil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Nutrients 2021, 13(2), 684
The therapeutic effects of curcumin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remain inconclusive.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rcumin on glycemic control and lipid profile in patients with PCOS. PubMed, Embase, Scopus, Web of Science, and Cochrane Library were searched from the inception through 28 November 2020.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which enrolled adult patients with PCOS, compared curcumin with placebo regarding the glycemic control and lipid profile, and reported sufficient information for performing meta-analysis, were included. Three RCTs were included. Curcumin significantly improves fasting glucose (mean difference (MD): −2.77, 95% confidence interval (CI): −4.16 to −1.38), fasting insulin (MD: −1.33, 95% CI: −2.18 to −0.49),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MD: −0.32, 95% CI: −0.52 to −0.12), and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 (MD: 0.010, 95% CI: 0.003–0.018). It also significantly improves high-density lipoprotein (MD: 1.92, 95% CI: 0.33–3.51) and total cholesterol (MD: −12.45, 95% CI: −22.05 to −2.85). In contra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in low-density lipoprotein (MD: −6.02, 95% CI: −26.66 to 14.62) and triglyceride (MD: 8.22, 95% CI: −26.10 to 42.53) between curcumin and placebo. The results of the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 HOMA-IR, QUICKI, and total cholesterol are conclusive as indicated by the trial sequential analysis. Curcumin may improve glycemic control and lipid metabolism in patients with PCOS and metabolic abnormality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 Further studies are advoca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s of curcumin on hyperandrogenism.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에 대한 커큐민의 치료 효과는 결정적이지 않습니다. 본 연구는 PCOS 환자에서 혈당 조절 및 지질 프로파일에 대한 커큐민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PubMed, Embase, Scopus, Web of Science, Cochrane Library는 처음부터 2020년 11월 28일까지 검색되었습니다. PCOS를 가진 성인 환자를 등록하고, 혈당 조절 및 지질 프로파일에 관한 위약과 커큐민을 비교하고, 메타 분석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정보를보고하는 무작위 대조 시험 (RCTs)이 포함되었다. 세 개의 RCT가 포함되었습니다. 커큐민은 공복 혈당을 유의하게 개선합니다 (평균 차이 (MD) : -2.77, 95 % 신뢰 구간 (CI) : -4.16 ~ -1.38), 공복 인슐린 (MD : -1.33, 95 % CI : -2.18 ~ -0.49), 인슐린 저항성의 항상성 모델 평가 (HOMA-IR) (MD : -0.32, 95 % CI : -0.52 ~ -0.12), 정량적 인슐린 민감성 검사 지수 (QUICKI) (MD : 0.010, 95 % CI : 0.003-0.018). 또한 고밀도 지단백질 (MD : 1.92, 95 % CI : 0.33-3.51) 및 총 콜레스테롤 (MD : -12.45, 95 % CI : -22.05 ~ -2.85)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대조적으로, 커큐민과 위약 사이의 저밀도 지단백질 (MD : -6.02, 95 % CI : -26.66 ~ 14.62) 및 트리글리 세라이드 (MD : 8.22, 95 % CI : -26.10 ~ 42.53)의 개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습니다. 공복 포도당, 공복 인슐린, HOMA-IR, QUICKI 및 총 콜레스테롤의 결과는 시험 순차적 분석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결정적입니다. 커큐민은 PCOS 및 대사 이상 환자에서 혈당 조절 및 지질 대사를 심각한 부작용없이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curcumin이 hyperandrogenism에 미치는 잠재적 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옹호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