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란은행 영란의 란이라는 글자가 네덜란드와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 전혀 아닙니다. 영란 자체가 잉글랜드니까요.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68 조회
- 목록
본문
영란은행(英蘭銀行)은 영국의 중앙은행으로, 또는 잉글랜드 은행이라는 번역으로도 사용됩니다. "영란"은 영길리와 같이 잉글랜드의 한자 음차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번역은 한자어를 표기할 때 영국이 잉글랜드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영길리(英吉利, Yīngjílì)는 중국 음으로 '잉지리’로 번역되며, '영격란’은 ‘잉거란’, '영란’은 '잉란’이 됩니다1. 중국어로 '영국’을 표현할 때는 '英国’으로 발음되며, 이는 '잉글랜드’의 중국어 음역인 '영길리’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영란은행은 1694년에 왕실의 주식회사 형태의 민간 특허은행으로 설립되었습니다. 명예혁명 이후 윌리엄 3세가 내전과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왕실재정이 고갈되자, 잉글랜드 은행 지주회사를 설립해서 유대인 상인으로부터 120만 파운드의 기금을 조성한 후 이 은행에 발권권한을 허가해주었습니다. 설립 초부터 영국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은행으로 이후 여러 가지 조치에 의해 영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1946년에 국유화되었으며, 1998년에는 금융 및 금리 정책의 독립성을 획득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있으며, 통화정책위원회를 통해 기준 금리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네덜란드는 다른 국가로, 네덜란드어로는 "Nederland"입니다. 네덜란드는 유럽 서부에 위치한 국가로, 역사적으로 해상무역과 금융업에 종사하던 유대인들이 영국으로 이주하여 대영제국 중흥에 크게 일조했습니다. 이때 유대 자본에 의하여 민간 소유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2. 이렇게 네덜란드와 영국은 서로 다른 국가이며, 영란은행은 영국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과 기관입니다. 네덜란드와의 관련은 직접적이지 않습니다.영란은행과 네덜란드는 관련이 전혀 없어? 영란의 란이라는 글자가 네덜란드와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 전혀 아닙니다. 영란 자체가 잉글랜드니까요.

영국의 중앙은행은 왜 영란은행이라 부르지? (naver.com)
[자유인 칼럼] 영란은행의 탄생 배경과 불의(不義)한 현대 금융 제도 (fenkorea.kr)
[경제야 놀자] 영란은행(The Bank of England) - 부산일보 (busan.com)
1694년 영국의회법에 의해 설립된 영란은행은 중앙은행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스웨덴 중앙은행이 영란은행보다 먼저 1668년에 설립되었으나 실질적인 중앙은행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한 것은 훨씬 뒤의 일이기 때문이다. 300년이 넘는 긴 역사를 통해 영란은행은 중앙은행의 자생적인 진화 과정에 대한 전형을 제시하고 있다.
오늘은 주요국 중앙은행 시리즈 세 번째로 근대 중앙은행제도를 가장 먼저 확립시킨 영란은행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만파식적] 영란은행(BOE) | 서울경제 (sedaily.com)
명예혁명으로 집권한 영국 왕 윌리엄 3세가 1690년 프랑스와의 비치헤드 해전에서 패배했다. 영국 정부는 강한 해군을 육성하기 위해 연 14%의 이자까지 제시했지만 국채 발행에 실패했다. 투자자들이 네덜란드 총독 출신 왕의 정치 기반이 약하다고 평가해 매입을 주저했기 때문이다. 궁지에 몰린 왕은 1694년 스코틀랜드 상인 윌리엄 패트슨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국채를 담보로 지폐를 발행해 대출 사업도 할 수 있는 민영 중앙은행 설립을 허용했다. 패터슨은 12일 만에 런던 상인들로부터 120만 파운드의 출자금을 조달했다. ‘영란은행(BOE·Bank of England)’은 이런 과정을 거쳐 태어났다. 영국 정부는 영란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려 제철업을 키우며 강력한 해군을 만들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VCRLVAGR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