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의 미래를 알아봅니다. 금천구청역 대한전선부지 부영 우정의료재단, 신안산선 시흥사거리, 공군부대 개발,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41 조회
- 목록
본문









[전철역세권⑫-금천구청역] 驛前 2만평 유휴부지 "10년내 환골탈태할 것" < 기획특집 < 종합 < 기사본문 - 철도경제신문 (redaily.co.kr)
출구 우측편으로 약 8만㎡에 달하는 유휴부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 금천구에 따르면 '대한전선부지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을 수립하고 81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과 990세대의 공동주택을 건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6월 서울시 교통영향평가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상태이다. 예정대로 올해 하반기에 결정고시가 나게 된다면 내년에 착공해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출처 : 철도경제신문(https://www.redaily.co.kr)
기공식 열고도 어영부영하더니…부영, 금천 대형병원 착공 연기 | 비즈한국 (bizhankook.com)
금천구 종합병원 개발 사업은 금천구청 남단에 있는 옛 대한전선 공장 부지에 대형종합병원과 공동주택을 짓는 사업이다. 부지를 가로지르는 금하로를 중심으로 남쪽에서는 우정의료재단이 지하 5층~지상 18층(810병상) 규모 종합병원을, 북쪽에서는 부영주택이 지하 3층~지상 35층 7개동(990세대) 규모 공동주택을 각각 조성한다. 부영주택은 2013년 2월 총 8만 ㎡ 규모인 대한전선 공장 부지를 1250억 원에 매입해 부지 남쪽 일부를 재단에 증여했다. 이 개발 계획은 2020년 11월 서울시를 통과했다. 2022년 4월에는 기공식도 열렸으나 실제 공사엔 착수하지 못했다.
부영그룹이 건축 허가 이후 2년째 공사에 착수하지 못한 이유는 토양 오염이다. 환경영향평가 결과 부지 토양에서 오염 물질인 구리(3만 2784ppm)와 불소(934ppm), 섬유계총탄화수소(TPH, 1만 6305ppm)가 기준치 이상 검출된 것. 금천구는 2022년 3월 부영주택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라고 명령했다. 토양 정화 명령은 2년 안에 이행해야 하며, 사유가 있을 경우 1년씩 2회 연장할 수 있다. 부영그룹은 현재까지 정화 명령을 이행하거나 기한 연장을 신청하지 않았다.

금천구의 미래를 제시하는 ‘2040 금천구 도시종합관리계획’ 수립 | 뉴스로 (newsro.kr)
도시발전축은 지역특성 등을 고려해 4개 남북발전축(첨단, 상업·업무, 생활중심, 친수·녹지)에 2개 동서발전축(범안로, 금하로)을 새롭게 설정, 시흥대로로 나뉜 동측과 서측의 균형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업․주거․교육․문화공간의 유기적 연계를 도모한다.

금천구 도심, 신안산선 신설로 역세권 계획 재정비 (edaily.co.kr)
IT 융·복합경제거점의 꿈 '공군부대 이전 및 개발 계획'
공군부대 부지 이전은 금천구의 오랜 숙원사업 중 하나이다. 1940년대부터 국방부 소유 토지였던 공군부대 부지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금천구 도심 한복판에 위치하게 되었고 수십 년간 금천구심 남북지역의 단절 및 균형 발전의 장애물이 되어왔다. 금천구는 그동안 공군부대를 이전하기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최근엔 국방부, 서울시, SH공사가 참여하는 용역 및 실무TF 운영을 통해 그 해법을 찾고 있다.
균형적 지역 발전의 걸림돌
공군부대 부지는 70여 년간 독산1동 지역에 위치해 왔으며, 면적 약 125,000㎡(3만 7000평) 규모이다. 현재 공군부대 업무시설(40여 동) 및 군관사 아파트(8개 동)로 이용되고 있다. 이는 금천구의 남북으로 연결되는 지역생활권을 오랜 기간 동안 단절해왔으며 최근 공군부대를 둘러싼 주변 지역들이 미니 신도시(4,400여 세대)로 변모하면서 개발 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공군부대 이전은 수도방위라는 군부대의 역할이 있기 때문에 단시일 내에 이전될 수는 없었다. 그렇지만 위치상 금천구심의 중앙에 자리해 북측의 가산디지털단지와 남측의 금천구심 지역을 차단하여 균형적인 지역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략계획 수립 용역 진행 중
공군부대 이전은 서울시뿐만 아니라 민·관·군과 정치권이 협력해야 할 중대한 사업이다. 국가산업단지인 G밸리에서부터 이어지는 준공업지역에 위치한 공군부대 부지는 서울시 상위계획인 ‘2030 서울플랜’에 따라 이전 및 개발 시 도시 경쟁력 및 자족기반 확보를 위한 전략거점지역으로 개발 방향을 정하고 있다. 이런 내용을 반영하여 금천구는 2015년 ‘금천구심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공군부대 부지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 관리해 오고 있다.
관계기관과 지속적인 협의를 토대로 올해 4월 ‘공군부대 부지 개발 기본구상 및 사업 실행 전략 수립 용역’에 착수하였고, 5월에 국방부, 서울시, SH공사와 함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에 발주된 용역은 대상지의 수요분석과 사업타당성, 사업실행 전략, 토지이용계획 수립 등이 포함된 개발기본구상(안) 수립 등을 내용으로 하며 내년 2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미래 먹거리 사업 펼칠 계획
금천구는 용역 추진 및 국방부, 서울시, SH공사가 함께 참여하는 실무 TF 운영을 통해 군부대 이전방식, 개발구상(안) 마련 등 합의를 도출하여 실현성 있는 사업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군사시설 이전·개발을 통해 서남권 IT 융·복합경제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4차 산업, IT 분야를 유치해 미래 먹거리 사업을 펼쳐나간다는 것이다. 이에 공군부대 이전 부지를 G밸리와 연계된 첨단산업 스마트 융·복합도시로 조성해나간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일자리 창출과 경제거점 기능을 할 수 있는 지역으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G밸리에 부족한 IT, 소프트웨어 등 4차 산업 지원시설(남부기술교육원 등), 직주(직장과 주거) 균형의 주거시설 및 복합개발용도 배치, 신안산선 개통에 따른 지역 중심 기능 강화 등 미래가치가 큰 기능 도입도 검토할 예정이다.

사업개요
도심 내 군 부지 개발을 통한 단절된 생활권 회복 및 도시기능 강화하고자 합니다.
위치
독산1동 486번지 일대
규모
133,083㎡(공군부대 124,993㎡ + 필승APT 8,090㎡)
사업기간
2018년 ~ 2031년
※ 임기내 도시개발계획 및 구역 고시
총사업비
비예산
사업내용
- 독산동 공군부대 이전 및 개발사업 추진
- 현 부지 내 부대규모 축소(도심형 부대 건설을 통한 군시설 현대화)
- 잔여 부지를 개발을 통한 금천구심 중심지 육성
세부추진계획
- 사업방식(위탁개발/기부대양여) 결정 및 사업자 선정 등
- 사업방식 협의‧결정(2024.06.)
- 사업시행자 선정 및 사업타당성 검토(2025.06.)
- 기재부 심의 및 도시개발계획 수립
- 기본(사업)계획 작성 및 기획재정부 심의‧승인(2026.06.)
- 도시개발(세부개발)계획 수립 및 결정‧고시(2027.)
- 도시개발계획 결정·고시 (’26년 6월)
- 도심형부대 건설 착공 (’26년 상반기)


금천 공군부대 개발 본격화.."서남권 시작으로 서울 대개조" (edaily.co.kr)
계획안에 따르면 금천 공군부대와 온수산업단지 개발이 앞으로 본격화한다. 금천 공군부대는 용적률과 용도규제에서 자유로운 ‘공간혁신구역’으로 지정해 첨단산업과 스타트업 지원공간, 녹지·화시설, 도심형 주택 집적지로 개발한다. 시는 국토부에 이 지역을 선도사업 후보지로 제출했고, 최근 국토계획법 개정안이 공포돼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국방부와 국토교통부, 금천구청이 군부대 이전 방식을 논의 중이지만, 전면·부분의 이전 방식보다 하루빨리 개발이 진행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간 금천구 도심 한가운데 군부대가 위치해 인근 주민들의 재산권 피해와 주변 지역개발이 어려워 주민들이 오랜 기간 불편과 피해를 겪어 왔다. 군부대가 압축부대로 부분 이전이 된다면 군부대 부지를 최소화하여 개발을 착수하고 향후 단계적으로 전면 이전을 고려할 수 있다.
전면 이전이 가능하다면 군부대를 이전받는 부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전면 이전이 조속히 이루어지게 지원해야 한다. 제가 ‘군사기지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안도 대표 발의했는데, 주민들께서 기회를 주신다면 다음 국회에서도 전면·압축 이전을 포함한 군부대 부지의 조속한 개발을 위해 계속 살펴보겠다.
출처 : 바른지역언론연대(http://www.bjynews.com)
cts3948_file7.pdf (geumcheon.go.kr)
공군부대 복합개발 및 부대 축소 배치 추진


지역개발-07 신규여부 총사업비 공군부대 복합개발 및 부대 축소 배치 추진 계속 비예산 완료시기 사업유형 31.12월 (임기후) 유치 사업기간 장기 대상지역 독산1동 담당부서 도시계획과장 김병호 도시전략팀장 이동규 정책목표 담당 이호동(2382) ○ 도심내군부지개발을통한단절된생활권회복및도시기능강화 민선7기 추진성과 ○ 공군부대개발사업추진방향결정:도심형부대건설및잔여부지개발추진 ※ 전부이전을 위한타지자체협의(총5개소)가 모두 무산됨에 따라, 주민의견 수렴(구민위원회, 설문조사 등)등을 통한 도심형부대 건설 및 부지개발 추진 ○ 관계기관과(국방부, 공군 등)의 실무TF 회의 지속 운영- 구청장·국방부 차관 면담 및 지속적인 실무TF 등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협력관계구축 ※금천구도시발전및군장병근무환경개선등공감대형성 사업개요 ○ 위 치:독산1동486번지 일대 ○ 규 모:133,083㎡(공군부대124,993㎡+필승APT8,090㎡) ○ 사업기간 : 2018년 ~ 2031년 ※임기내도시개발계획및구역고시 ○ 사업내용 : 독산동 소재 공군부대 이전 및 개발사업 추진- 현부지내부대규모축소(도심형부대건설을통한군시설현대화)하고, 잔여부지를개발을통한금천구심중심지육성 ○ 총사업비 : 비예산 세부추진계획 ○ 사업방식(위탁개발/기부대양여) 결정 및사업자선정(’~23년)- 도심형부대 면적 및 사업방식 협의‧결정 (’22.12월)- 사업시행자선정및사업타당성검토(’23.01월~12월) ○ 도시개발계획 수립 (’24년~’26.6월)- 기본(사업)계획 작성 및 기획재정부 심의‧승인 (’24.12월)- 도시개발(세부개발)계획 수립 (’25.12월)- 도시개발계획 결정‧고시 (’26.6월) ○ 도심형부대 건설 착공 (’26년 상반기) ○ 연차별 추진계획 사업내용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사업방식 결정 및 사업자 선정 도시개발계획 수립 사업착공 및 준공 도심형부대면적 및사업방식결정 사업자선정및 사업타당성검토 사업계획작성및 기획재정부 심의‧승인 도시개발계획(세부개발) 계획수립수립및결정․고시 임기후 도심형부대 건설사업착공 문제점 및 해결방안 ○ 문제점- 우리구와 공군 측 도심형부대 소요 면적(안) 차이 발생 사업준공 (2031년 예정)- 도시기능강화를위한용도도입및주민편익시설확보의어려움 ※준공업지역 총량제에 따른 용도지역(現 준공업지역)을 유지한 개발 ○ 해결방안 : 도심형부대면적, 토지이용계획구상(안) 등 합의후사업 추진전MOU체결통해기관간사업추진을위한신뢰관계형성- 군부대 소요면적 최소화 방안 ▸군사시설 지하화‧수직‧고밀 배치 및 필승APT 부지 활용 ※ 개발밀도 상향(용도지역 변경,「2040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 연계 및 市 조례 개정등)을 통한군시설면적최소화도모 - 도시기능 강화 및 주민편익시설 확충 방안 ▸도시개발계획 수립 시 상위 계획(2030 서울플랜, 2040 준공업 지역 종합발전계획 등)과의 정합성을 유지한 계획 수립 ▸개발밀도 상향과 연계한 공공기여량 극대화(서울시 적극 협의 및 새로운 제도 활용 등)- 관계기관과의 정기적인 실무TF 운영 ▸국방부, 공군 등 관계기관과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실무 TF 운영하여 원만한 사업추진을 위한 유대관계 형성 소통계획 ○ 이해관계자 : 모든 구민, 국방부, 공군본부 등 ○ 소통 방법 및매체- 공군부대이전사업구민위원회개최 : 도심형부대면적및사업방식결정, 개발계획(안) 마련등사업주요 절차별구민위원회개최를통한의견청취및주민홍보- 사업단계별주요정책(개발계획확정등) 이행시언론홍보 ○ 구의회협력계획 : 주요업무보고 및 수시 협력 요청- 구민위원회개최및언론홍보시행전구의회설명및의견청취 협업사항 ○ 국방부 : 도심형부대면적축소및금천구도시발전을위한개발방향설정 ○ 서울시 :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개발밀도)등원활한사업추진위한지원 기대효과 ○ 단절된 생활권을 회복하고 금천구의 전략 구심역할 수행을 통한 도시기능 제고 ○공군부대부지개발을통해서남권관문도시로서위상정립-주거‧산업‧판매시설등복합개발을통한직주근접·컴팩트시티조성-공원‧녹지‧문화시설등도시활동지원기능확보로주민삶의질개선 연차별 투자수요 및 집행액 : 비예산 사업 위치도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