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침체, 디플레이션에 맞는 투자법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디플레 위험을 이겨내는 투자법

홍춘욱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801

 

디플레 위험이 부각되는 시기에 각 가계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필자가 보기에 디플레 시대의 핵심적인 투자 키워드는 다음의 두 가지다. 하나는 ‘성장’, 다른 하나는 ‘해외’다.

 

디플레 국면에 성장주가 두각을 나타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기업의 가치는 미래에 벌어들일 수익을 합한 것이다. 미래의 수익을 현재의 가치로 계산하기 위해 흔히 ‘이자율’이 사용된다. 그런데 디플레 시대에는 이자율이 제로 수준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장금리가 10%일 때는 내년에 벌어들일 1만원의 현재가치는 9000원으로 볼 수 있지만, 금리가 제로 수준일 때는 1만원으로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미래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은 금리가 낮을 때 두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디플레 시대 투자의 두 번째 키워드는 ‘해외’다. 만에 하나 디플레 여건이 장기화된다면, 우리 원화 가치는 어떻게 될까? 외국인 투자자들은 성장 잠재력이 떨어진 한국에 그냥 투자할까? 아니면 투자금을 회수할까?

 

출처 : 시사저널(https://www.sisajournal.com)

 

 

 

디플레 우려 커지면…"증시서 발 빼고, 달러 자산 늘려야"['D'공포 논쟁⑦-끝]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120390426

주식시장이 붕괴될 경우 정부는 기준금리 인하 등 적극적인 통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시중에 자금을 풀어 경기를 끌어 올리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될 경우 실물경기는 악화된 상황에서 유동성으로만 증시가 오르는 불안정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

채권시장은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때아닌 호황을 누릴 수 있다. 다만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장기적으로는 수요 확대에 따른 가격 상승과 금리 인하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수요가 몰리면서 채권 가격은 오르는데 반대로 금리는 떨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

전문가들은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주식 비중을 낮추고 선진국 국채와 달러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환율이 예상을 넘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환율을 미리 고정해 수익률을 정하는 '환헤지' 상품보다 환율 변동을 그대로 반영하는 '환노출' 상품이 유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목멱칼럼]디플레 시대 투자법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10326622620776&mediaCodeNo=257&OutLnkChk=Y

 

디플레 기간에 사람들은 자기 자산을 어떻게 움직일까?

일본의 사례를 보면 세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우선 현금이나 당장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의 비중이 늘었다. 2000년 이후 12년 동안 일본의 가계 금융자산 흐름을 보면 현금과 예금이 전체 금융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4.2%에서 55%로 늘어났다. 초단기 상품 금리가 0.02%에 불과했지만 돈이 저축에서 벗어나지 않은 것이다. 금리가 0%라 해도 물가가 하락하면 실질금리가 높아지기 때문에 자금이 부동산이나 주식으로 이동하기보다 현금으로 남아 있었다.

 

둘째, 해외 상품의 비중이 늘었다. 금리가 너무 낮아 더 이상 국내 채권에 투자하기 힘들어지자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채권을 사들이기 시작했는데 환 헤지 비용을 제외하고도 일본채권보다 1~2%p 높은 수익이 발생하는 점에 주목한 결과다. 2000년에서 2006년 사이 국내 주식형 펀드가 10% 늘어나는 동안 해외 채권과 하이브리드 채권은 10배 이상 늘어났다.

 

셋째, 주식투자는 보수적인 형태로 진행됐다. 주가순이익배율(PER)보다 배당 수익률이 중시됐는데 상황이 어려울수록 배당이란 확실한 보상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디플레이션 시대의 투자방법

https://blblbl.tistory.com/entry/디플레이션-시대의-투자-방법-이란-그-뜻-및-영향

 

채권, 현금, 방어주(경기방어주나 배당주), 금

 

 

2025년 근공의 경제 전망: 디스인플레이션, 성장률 정체, 그리

https://blog.naver.com/crystaltechnology/223622198946

 

eb3cd323f5bbcfe4600edf584d3f22b904aac2e2t52d.png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미래에셋 박희찬-

https://blog.naver.com/crystalet12/223011329340

354794beaeab225aaadace6e1b878693ac8c860bmt67.png

 

4be57d9852a951264e02718b6df3d4f0fc3eaec5faov.png

 

 

35c3411a878711de17a544e894966d25100af99d1m97.png9c16a79b829acb95fbe6f047c3a6b01078b1ec2fl2j7.png

 

 

일본정부, "25년만에 탈(脫) 디플레이션 전환점 왔다!"...공식 선언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9463 입력 2023.08.29 16:19

29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일본 내각부는 경제재정백서를 통해 “물가와 임금 상승이 확연히 나타나고 있다”며 “일본 경제가 탈(脫) 디플레와의 싸움에서 전환점(inflection point)을 맞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시점에서는 서비스분야 물가의 상승이 둔한 만큼 전환점에 (완전히) 도달한 것은 아니다”며 “생산성을 더 높이고 임금 상승을 지속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잃어버린 30년’을 경험한 일본이 정부 백서를 통해 ‘탈(脫) 디플레’를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풀이된다.

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s://www.getnews.co.kr)

 

 

8c07f00f18fca129ae76341426a6585e6451b542ldno.png9085b41c3025181a3fdc241804880ac84df9160a8dvk.png

 

엔캐리가 침체에 더 큰 폭발력을 갖을 것 같은데

 

일본10년물 보다, 환율이 선행해서 움직이는 모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