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바오-[인사이드차이나-사회]2강 내권•.말리는인생 //요약본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03 조회
- 목록
본문
샹바오-[인사이드차이나-사회]2강내권•.말리는인생
최근중국인터넷에서는<내권>이라는말이유행하고있다.중국의SNS에서는'안으로점점말려들어가는상태를뜻하는내권관련해시태그가10억회이상
조회퇬을정도다.왜중국청년들은내권을말하는가.좋은대학을가고좋은직장을가고성공을위해끝없이경쟁하는삶의굴레에서벗어나지못하고,그굴레
속에갇혀버린청년들.무의미하고끝없는경쟁에말려버린건현대사회의병페이지만,내권은현상은중국에서더강하게나타난다.지치고힘들어도중국청
년들이경쟁을멈출수없는이유는무엇인가.샹바오소장은중국인들의삶을들여다봐야그답을찾을수있다고강조한다.

새로 등장한 용어
2020년 소셜미디어 소통할때
흔희 쓰는 키워드
내권하나?
대학의 내권은 어떻게 봐야할까?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상태를 의미
사회적의미로는 무의미하고 끝없는 노력과 지나친 경쟁
무의미해보이지만 그만둘 수 없는 끝없는 경쟁 상태

남들처럼 경쟁에 합류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니 어쩔 수가 없는

동료들이 야근하고 상관이 야근하기 때문

중국에서 더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엘리트 층에서만 내권이 발생한다.
14억 중국인들이 똑같은 목표로 경쟁이 치열하다.
같은 기준에 따라 내권의 함과 경쟁의 압박이 치열해진다.
14억인구의 내권
경쟁의 목적은 원래 성공하기 위해서, 남들보다 더 뛰어나려고 한다.
하지만 요즘엔 낙오하지 않고 다른 이를 넘어서기 ㅇ위해서, 성공의 목표도 사라진지 오래이다.

A B라고 착각하지만 경쟁은 삼각관계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C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AB는 더 부수적인 존재가 된다.
가장 심각한 분야는 학교와 교육 분야이다.



제도적 내권이 없으면 개인 수준의 심각한 내권 현상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독일에선 획일적으로 교육하지 않습니다.
학생들이 느끼는 경쟁 압박도 덜할 거에요.


C를 인지하면 사람들간의 관계를 새로이 이해할 겁니다. (AB)
동료와 학우는 적이나 경쟁자가 아니다.
C가 누구이며, 어떻게 그 영역에 들어갈 수 있었는가?
내가 과도하게 동일화 됐을까?
용감하게 다른 가치를 추구할 수 있을까?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