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칼로리가 아니라 호르몬이다. 인슐린. 요요없이 평생 써먹는 체지방 삭제 방법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칼로리는 단순해서 아주 매력적으로 다가오지만

f8bb1f6cc6b18690ff8b3bc5568e7faf2c568515micq.png

연구를 해보니

먹는 칼로리를 30% 줄였더니

기초대사량 측정

에너지소비량이 30% 가량 줄었다.

 

체지방=섭취칼로리- 소비칼로리 >>> 이 모델은 실패한 모델이다.

 

 

몸이 못버티다가, 배고프게 하는 호르몬 그렐린이 폭발

 

폭식 후 요요현상!!

 

 

저장해놓은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쓰게한다. 

그 글리코겐을 다 쓰면 이제 지방을 분해하게 된다.

 

 

인슐린 농도가 높아지면 렙틴이 고장나서 배부름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인슐린을 잠재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단식하면 쉽게 줄일 수 있지만 좋은 방법이 아니다.

 

단식을 하면

초반에는 탄수화물 소모가 매우 높아지나 지방 소모는 없다.

그리고나서 저장된 글리코겐을 다 쓰는 시간이 지나간다.

이 시간이 지나면 지방을 태우게 된다.

fd7039e4de817464eb5679737fff5ef38601f934t3on.png

 

그래서 16시간 단식 8시간 식사

, 24시간 단식 같은 프로그램이 생기게 된다.

 

글리코겐과 지방을 태울 수 있는 것이 단식이다.

 

6c852275176b8ea83d7246e37be79d09504addadgcbk.png

 

REE  휴식기 에너지 소비량(resting energy expenditure : REE)

VO2 산소소비량

 

 

 

단백질 지렛대 가설

하루에 적정 단백질량을 채우지 못하면 다른 음식들로 허겁지겁 채우게 된다.

 

단백질을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단백질을 먼저 먹으면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GLP-1이 나오고

식욕을 촉진하는 호르몬(그렐린)이 줄어들기도 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