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있는 부동산을 매수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369 조회
- 목록
본문
"중국이 일본 땅 다 사가네" 日도 부동산 우려 증폭 - 아시아경제 (asiae.co.kr)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30215480010640
보도에 따르면 이처럼 중국 자본은 토지를 비롯한 일본의 부동산을 꾸준히 매수하는 중이다. 우리나라 산림청의 기능을 맡고 있는 일본 임야청은 외국 자본이 일본에서 인수한 산림 면적이 조사 공표를 시작한 2010년부터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말 기준 누계치는 2010년 대비 4.2배 수준이었다. 홍콩을 포함해 중국 투자자가 사들인 면적이 총 969㏊로, 외국 자본이 인수한 전체 토지 면적의 40%를 차지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부동산 론은 영주권자만 나오나 소득이 있어야나온다.
한국에서 주거래은행에 일본으로 나가면 외국환은행/한국은행 신고해야 한다.
“월급쟁이의 일본 부동산 투자 성공기” 백승의 『서울을 팔고 도쿄를 샀습니다』 출간 < 책과 사람 < 기사본문 - 한국강사신문 (lecturernews.com)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962
그는 차익형 투자 위주로 세팅되어 있던 포트폴리오를 수익형 투자로 전환하기 위해 보다 수익률 높은 투자처를 물색하기 시작했고, 그때 눈에 들어온 것이 ‘일본 부동산’이었다. 주변인들의 만류에도 그는 끝내 일본 도쿄에서 꼬마빌딩을 매수했다.
그 결과 2% 월세 수익도 감지덕지하는 강남 상가와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높은 10%의 월세 수익을, 그것도 일본인 세입자들에게서 받게 되었다.
출처 :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
한국에서 일본부동산 구입 :: Okinawa Ryukan Agency (tistory.com)
https://ryukan.tistory.com/618
2021년 6월 일본정부가 안보를 목적으로 국가주요시설 주변이나 국경지역 주변 도서지역을 주시구역, 특별주시구역으로 각각 규정해 토지 및 건물의 소유자의 정보를 조사하고 행정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토지규제법을 만들어 2022년 9월 부터 시행을 하면서 외국인의 토지, 건물 소유에 대해 규제를 하면서 미군기지 시설 및 자위대 기지 등이 있는 오키나와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지만 일반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는 아직 구체적인 제약 사례가 알려지지는 않고 있다.
참고로 구입비용은 부동산 매매가격 이외 제비용이라 하는 등기비용, 중개수수료, 세금 등이 포함되면 제비용은 매매가격의 8~10%로 예상하면 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