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군문 바리데기 골계미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336 조회
- 목록
본문
바리데기 공주는 무속 신앙에서 이야기 형식의 서사 무가로 전한다. 바리데기 공주가 가족과 헤어져 온갖 시련을 겪지만 고생 끝에 가족을 다시 만나 신이 되어 인간을 보살핀다는 이야기로 내용이 길며 비슷한 이야기도 많다. 줄거리는 불사국 오구대왕이 여섯 딸을 낳고도 또 딸을 낳자 태어난 아이를 숲에 버린다. 비리공덕할아비와 할미는 공주를 데려와 바리데기 공주라 부른다. 부모가 큰 병을 얻자 서천서역국으로 약을 구하러 떠난다. 바리데기 공주는 부모를 살리기 위해 저승으로 가 지옥에 있는 사람을 구해 내고 공덕을 쌓아 가며 약을 찾아간다. 그 과정에서 남편을 만나 아이를 낳으며 힘겹게 약을 손에 넣는다. 서둘러 이승으로 돌아가 부모를 살리고, 만신의 섬김을 받게 되어 신이 된다. 이러한 신의 탄생 과정을 노래한 무가를 본풀이라고 하는데, 바리데기는 오구신의 탄생 과정을 이야기하여 오구풀이라고 하며, 진오기 굿에도 등장한다. 오구신은 삼신, 제석신과 같이 인간의 삶을 보살피는 우리 전통의 신으로 자리 잡았다.
이승과 저승을 왔다리갔다리 할 수 있는 능력자
바리공주(바리公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각 편들이 공유하는 서사 단락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옛날 국왕 부부가 딸만 계속 일곱을 낳는다. ② 왕은 일곱째로 태어난 딸을 내버린다. ③ 버림받은 딸은 천우신조로 자라난다. ④ 왕은 병이 든다. ⑤ 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서는 신이한 약물이 필요하다. ⑥ 만조백관과 여섯 딸이 모두 약물 구하는 것을 거절한다. ⑦ 버림받은 막내딸이 찾아와 약물을 구하겠다고 떠난다. ⑧ 막내딸은 약물 관리자의 요구로 고된 일을 여러 해 해 주고 그와 혼인하여 아들까지 낳은 뒤 겨우 약물을 얻어 돌아온다. ⑨ 국왕은 이미 죽었으나, 막내딸은 신이한 약물로 아버지를 회생시킨다. ⑩ 그 공으로 막내딸은 저승을 관장하는 신이 된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바리공주<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온, 지역의 설화<지역N문화 테마 (nculture.org)
바리공주 이야기는 죽음에 관한 이야기이자 죽음을 넘어서는 삶의 이야기기로 한국 서사무가의 전통적인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신화이다. 이 설화는 온갖 고난과 시련을 극복하고 마침내 저승을 관장하는 신이 되는 바리공주의 일생이 영웅서사의 구조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또한 여성이라는 이유로 핍박받는 바리공주의 삶을 통해 남존여비 사상과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비판하고 있다. 또한, 죽은 부모를 살리는 바리공주를 통해 죽지 않고 영원히 살고자 하는 민중의 바람과 초월적 세계에 대한 염원을 드러내고 있다,

불교적 시선으로 본 영화 ‘신과함께’ < 문화 < 뉴스 < 기사본문 - e붓다 (ebuddha.co.kr)
자신의 죽음을 믿지 못하는 자홍은 차사들에게 이끌려 저승으로 가는 입구 ‘초군문(初軍門)’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또 다른 차사 강림(하정우)을 만나고, 19년 만에 귀인을 만난 삼차사(三此事)는 자홍의 환생을 확신한다.
출처 : e붓다(http://www.ebuddha.co.kr)
대상을 풍자, 조롱하고 비하하는 형태를 취하며, 객체에 대한 주체의 우위를 주장한다. '있는 것'을 당연시 여기고 '있어야 할 것'을 외려 비틀어, 자연의 질서나 이치를 의의 있는 것으로 존중하지 않고 추락시킴으로써 미의식이 나타난다. 풍자와 해학의 수법으로 우스꽝스러운 상황이나 인간상을 구현하며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