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2

샴의 법칙: Sahm Rule Recession Indicator 샴 불경기 지표에 관하여 알아봅니다.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두 가지 경기침체 지표가 거의 깜박거리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아직 안심해도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tistory.com)

 

샴 법칙

첫 번째 경기침체 지표는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지난 12개월 동안의 최저치보다 50bp 상승할 때 점등하는 샴 법칙(Sahm Rule)입니다.

지난달 실업률은 3.9%로 4월의 주기 최저치인 3.4%보다 50bp 상승했습니다. 3개월 평균 실업률은 이제 최저치보다 33bp 높아져 샴룰이 발동되기까지 불과 17bp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이 지표는 전 연준 이코노미스트인 클라우디아 샴이 만든 것으로, 이 지표가 깜박이면 경기 침체 가능성이 크게 높아집니다.

 

 

Real-time Sahm Rule Recession Indicator (SAHMREALTIME) | FRED | St. Louis Fed (stlouisfed.org)

 

2136ac1820455eef188d5974ac22741d4abf11f6l5w2.png

 

168b7043ada63819236dc32b7d76c5bbbd16a116sk6t.png

 

 

 

 

2023-q4-global-market-outlook-full-report-kr-kr.pdf (russellinvestments.com)

713e23a11edcea1afc62ce2dbc3204e542ebe46e8og5.png

 

이번은 다르다? 시점이 늦추니졌을 뿐

샴의 법칙(Sahm Rule)’에 따르면, 최근 실업률 3개월 이동 평균이 이전 12개월 동안의 최저점 대비 0.5%p 상승하면 경기 침체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해당 법칙은 실업률이 상승하기 시작할 때 나타나는 자기강화적 역학(self-reinforcing dynamics)을 강조합니다. 실업률 증가는 기업들이 긴축 경영에 들어간다는 신호입니다.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가계는 지갑을 열기가 조심스러워집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Percentage-point rise in 3-month moving average unemployment rate relative to previous 12-month low 3 4 더 긴축 경영에 들어가고 해고를 단행하며, 결과적으로 가계는 허리띠를 더 졸라매게 됩니다. 시간을 두고 반영되는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연준의 긴축 정책으로 시작됩니다. ‘샴의 법칙’은 통화 정책이 초래한 경기 둔화가 경기 침체로 이어지지 않도록 연준이 통화 정책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잘 보여줍니다.
Andrew Pease

 

 

 

 

 

샴의 법칙(Sahm rule)이 틀리기 위한 조건과 맞기 위한 조건 (naver.com)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함에도 실업률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샴의 법칙이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c534d86709e703a7570b62369bac0550c625aa774u0w.png1fb3ce0763936ad1c71bcdd1324c9547de0ff678usnl.png

미국실업률

 

 

 

 

 

 

c3e503975375cfb0c1da0bd8f6688f1d130c7bb4b2ou.png17b5eb186b08a0955125b9e50a47c68c24c72bd5ru2x.png

미국 경제활동 참가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