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유한 엔화, 특히 엔화 예금의 2025년 추이는 어떠할까 알아봅니다.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9 조회
-
목록
본문



2025년 2월 24일
공보 2025-2-10호
보도자료
이 자료는 2월 25일(화) 조간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방송/인터넷 매체는
2월 24일(월) 12: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제 목 . 2025년 1월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
口 2025.1월말 현재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
전월말 대비 21.4억달러 증가
1,0344억 달러로
0 달러화예금(+183억달러), 엔화예금(+11억달러) 및 유로화예금
(+0.8억달러)이 모두 증가
(자세한 내용은 '불임' 참조)
문의처 :국제국 자본이동분석팀 과장 신상호 (0기759-5746
팀장 김민규 (02) 759-5773
FAX. (0기759-5771 E-maiI : bokdfai@bok.or.kr
공보관 : Tel (02)759국015, 4016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국은행
BANK OF KOREA
(붙임)
2025년 1월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
口 20石.1월말 현재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예금잔액 1,03“억달러)은
달러화, 기업예금을 중심으로 전월말 대비 21.4억달러 증가
* 내국인과 국내기업,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국내에 진출해 있는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
0 (통화별) 달러화예금이 전월말 대비 18.8억달러 증가하였고, 엔화
예금, 유로화예금도 각각 1.1억달러, 0.8억달러 증가
- 달러화예금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수출입기업의
예비용 자금 확보 등으로 증가
- 엔화예금은 엔화 강세*로 인한 엔화예금 잔액의 미달러 환산액
증가 등으로 소폭 증가
* 엔/달러 환율: 24.12월말157.0엔 -+ 25.1월말 154.5엔(-2.5엔)
통화별 거주자외화예금 잔액 추이
2024년
미달러화
엔 화
유 로 화
위 안 화
기타통화2)
합 계
2021 년
829.6
52.5
52.0
18.7
19.9
972.7
2022년
953.8
66.1
55.0
17.8
1,109.8
2023년
857.9
97.0
58.0
12.5
13.4
1,038.8
(기말기준, 억달러)
2025년
1월(B)1)
11월
826.3
93.7
41.4
10.3
12.6
984.3
12월(A)
864.3
81.8
43.7
11.2
12.0
883.1
82.9
44.5
11.6
12.3
1,013.0 1,034.4
〈85.4>
〈8.0>
〈4.3>
〈1.1>
〈1.2>
〈100.0>
18.8
1.1
0.8
04
0.3
214
주 : 1)< >내는 비중(%)
2) 영국 파운드화, 호주 달러화 등
0 (주체별) 기업예금(예금잔액 892℃억달러) 및 개인예금(142.4억달러)은
각각 20.8억달러, 0.6억달러 증가
주치l별 거주자외화예금 잔액 추이
(기말기준, 억달러)
2024년
기 업
개 인
합 계
주.1)<
2021 년
785.0
187.7
972.7
2022년
961.0
148.8
1,109.8
2023년
882.6
156.2
1,038.8
11월
839.5
144.8
984.3
12월(시
871.2
141.8
1,013.0
2025년
1월(B)1)
892.0 〈86.2〉
142.4 〈13.8>
1 034.4 〈100.0>
B-A
20.8
0.6
21.4
>내는 비중(%)
0 (은행별) 국내은행(예금잔액 886그억달러)이 18.9억달러 중가하였고,
의은지점(1483억달러)은 25억달러 증가
은행법 거주자외화예금 잔액 추이
기말기준, 억달러)
2024년
국내은행
외은지점
합 계
주.1)<
2021 년
879.7
93.0
972.7
2022년
1,000.0
109.8
1,109.8
2023년
917.6
121.2
1,038.8
2025년
1월(B)1)
11월
838.3
146.0
984.3
12월(A)
867.2
145.8
1,013.0
886.1
148.3
1 034.4
〈85.7>
〈14.3>
〈100.0>
B -A
18.9
2.5
21.4
>내는 비중(%)
https://www.mk.co.kr/news/economy/11262155

12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11일 기준 달러예금 잔액은 총 603억달러(약 87조원)로 지난해 12월 637억달러(약 92조원)에서 5% 이상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은행들의 엔화예금 잔액은 1조200억엔(약 9조9868억원)에서 8884억엔(약 8조6983억원)으로 12%가량 줄었다. 시중은행에서 외화 수신의 양대 축인 달러와 엔화가 모두 단기간에 급감한 것이다. 달러예금이 감소한 것은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무역전쟁이 확산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지난해 11월만 하더라도 '미국 중심주의 경제 정책'에 따라 미국 시장이 호황을 맞이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으나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분위기가 반전된 것이다.
<하략>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83876.html
통화별로 보면, 달러화 예금이 전월 말 대비 18억8천만달러 늘었다. 전달(38억달러)보다 증가 폭은 줄었다. 주체별로 보면, 기업예금 잔액이 전달(31억7천만달러)에 이어 1월에도 20억8천만달러 늘었다. 한은은 “미국 달러화와 기업예금을 중심으로 외화예금이 두달째 증가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수출입 기업의 예비용 자금 확보 등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일본 엔화 예금은 전달 11억9천만달러 감소에서 1억1천만달러 증가로 전환했다. 지난달 엔화 강세로 엔화 예금 잔액의 달러 환산액이 소폭 커진 영향이다. 유로화 예금은 8천만달러 증가했다.
위에 따르면 엔화는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추세이고, 기업의 달러예금은 계속 증가추세라고 합니다.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102109170797897

정리하자면 엔화예금은 12~1월 증가, 2-3월에는 엔화예금이 5대 은행에서는 감소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