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제주도 공공자전거 그리고 GREEGO 현재는 중단되었습니다. 2024년 12월부터 중단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d255d43c641719668afbf013faa73c7bce0deed1pq40.png

 

 

GreeGo MaaS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 GreeGo는

(주)그리고는 관광지 동선을 시작으로 미니바이크 500대 운영을 통한 그린 퍼스널모빌리티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생활 지역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그린 퍼스널모빌리티의 새로운 시장진입을 위해 모듈화 된 오픈형 통합 GreeGo MaaS를 제공할 것입니다. 

이용자 주도형 공유 경제체계를 바탕으로 기존 도시의 저탄소, 분산, 공유 모델의 혁신공간으로 전환하는 오픈형 통합 플랫폼과 스마트 허브 운영으로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전환을 선도하며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불용에너지를 이용하는 EV 인프라 구축 사업 확장과 모듈화 된 비즈니스 포털형 GreeGo MaaS를 제공하여 소상공인, 소기업, 개인 창업자, 모빌리티 제휴 서비스를 함께 운영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상품 런칭,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데 있어  디지털 전환의 진입을 쉽게 할 수 있는 비즈니스 채널을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주도형 공유 경제의 생태계를 완성할 것입니다.

주식회사 그리고

원스톱으로 예약, 결제, 환승 혜택까지 모두 연결하는 통합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GreeGo

(주)그리고는 공유 모빌리티(PM)의 거점인 ‘스마트 허브’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모델을 구축하여 다양한 도시문제(PM 방치, 충전 인프라 부족, 에너지 불용, 교통 분야)를 해결하고 있으며,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인 GreeGo(그리고)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린(Green)과 모빌리티(Go)를 뜻하는 ‘GreeGo(그리고)’는 ‘스마트 허브’라는 거점을 중심으로 출발지와 목적지의 최적 경로와 최적의 공유 모빌리티(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실시간 버스 정보, 대중교통과 공유 모빌리티 환승할인 서비스(리워드 제공), 짐 보관 서비스, 관광지 정보 및 제휴사 상품 정보 등 사용자에게 합리적이고 편리한 부가 서비스 또한 제공하고 있습니다.

‘GreeGo(그리고)’는 앞으로 개인 교통수단을 포함해 열차, 택시, 항공, 항만 등의 대중교통을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는 MaaS와 지역 관광상품, 렌터카 예약, 배달, 차량호출 등 사용자 삶의 질과 편의성을 높일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32905

 

제주시가 애물단지로 전락한 공공자전거를 전량 폐기하기로 했다. 대신 전기공유자전거를 대거 투입하고 관련 시스템도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

23일 제주시에 따르면 ‘제주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사용된 개인용 이동장치(PM) 180대를 무상으로 넘겨받아 새로운 공공자전거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번 정책에 따라 기존 공공자전거는 13년 만에 고철로 전량 폐기된다. 2011년부터 도입된 공공자전거는 이미 분실 사고와 노후화로 운영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당초 제주시는 올해 1억원을 투입해 공공자전거 90대를 추가 배치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계약을 맺은 제작업체가 무허가 의료기기 제조 혐의로 적발되면서 계약이 해지됐다.

더욱이 전기자전거가 아닌 수동 자전거 도입 계획이 알려지면서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질타가 쏟아지면서 도입 계획은 없던 일이 됐다.

출처 : 제주의소리(http://www.jejusori.net)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