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라, 자가, 마마와 관련된 오류 및 바른 표현. 뜻.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575 조회
- 목록
본문
마노라
1. 아내를 허물없이 이르는 말
2. 옛존칭 : 마노라(抹樓下) < 마누라 : 마마와 동급의 극존칭 (성별을 불문) 국왕에서 후궁에 이르기까지 여러 왕실 일원을 마노라, 말루하라고 칭하였으며, 성별과 무관히 쓰인 경칭이었다. 그러나 19세기 이후에는 점차 의미의 변화가 일어나 이미 고종실록에서는 경칭이 아닌 의미로 쓰이는 등의 변화가 보이며, 현대에는 아내나 중년 여인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 되는 등 여러 차례 의미 변화를 거쳤다.
마노라=마립간=마누라=말루하
3. 중년이 넘은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4. 형사들의 용어(사수 부사수)
자가
나라의 풍속에 일컫기를, 왕자와 대군, 왕손을 자가(自家)라 하였다.
자가(自家)는 조선시대 왕의 가까운 자손, 즉 왕자(대군, 군), 왕녀(공주, 옹주), 왕세자의 아들(군), 왕세자의 딸(군주, 현주), 혹은 후궁 무품빈 및 정1품 빈에게 붙는 존칭이다.
보통 드라마나 소설에서 왕자, 왕녀와 빈을 '대군 마마', '공주 마마', 'O빈 마마'로 부르지만 이는 심대한 고증오류다. '대군 자가', '공주 자가', 'O빈 자가'가 옳은 고증이다. (대감 호칭에 대해서는 아래 항목 참고) 실제로 자가를 마마라고 불렀다면 역모죄로 의금부에 잡혀갔을 것이다.
결혼하지 않은 왕녀와 왕자는 보통 '아기씨'로 불린다. 그러나 봉호를 받지 않은 아기 옹주를 '옹주 자가'라고 칭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책봉 전에도 왕자, 왕녀에게 자가 경칭을 쓸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왕자는 보통 '대군 자가', '군 자가'로 불리며, '왕자 자가' 또는 '왕자군 자가'라고 부르기도 했다. [4] 왕녀와 왕손녀는 '공주 자가', '옹주 자가', '군주 자가', '현주 자가'라고 불렀다.
왕의 아들인 대군과 군, 왕세자의 아들 군은 보통 '대군 자가(大君自家)' 또는 '자가(自家)'로 불렸다. 또한 '왕자군 자가', '왕자 자가'라고 부르기도 했다.
인터넷에는 왕자와 왕손이 군호를 받고나면 '대감'이라 불렸다고 알려져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7] 왕의 아들인 대군과 군, 왕세자의 아들 군은 군호를 받은 후에도 '자가' 라고 불렸다.
왕의 딸 역시 '공주 자가', '옹주 자가'라고 불렸다.
아래는 공·옹주자가라고 칭한 기록들이다.
왕세자의 딸 역시 '군주 자가', '현주 자가'라고 불렸다.
아래는 군·현주를 자가라고 칭한 기록들이다.
왕의 후궁 중 무품빈 및 정1품 빈은 빈호 또는 별호를 붙여 'OO 자가'로 불렸다.
대한제국 시기엔 내부적으로 조선의 호칭법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조선의 왕자에 해당하는 제국의 친왕과, 조선의 빈에 해당하는 제국의 귀비 또는 비 역시 '자가' 라고 불리었다.
흔히 사극 등에서 '대군 마마', '공주 마마'라는 말은 익숙하나 '대군 자가', '공주 자가'는 익숙하지 않을 텐데, 이는 역사물에서 왕족에게 마마라는 호칭을 붙이는 대표적인 고증 오류 때문이다.
왕실에서 '마마', '마노라' 경칭은 왕, 왕비, 상왕, 대비, 왕세자, 왕세손, 왕세제, 세자빈 에게만 바칠 수 있었다.[17] 또한 민간에서 높은 신분의 여인을 마마, 마노라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즉, 왕, 중전, 대왕대비, 왕대비, 세자, 세자빈을 '마마' 라고 부를 수 있었고, 왕, 중전, 세자, 세자빈, 무품빈을 '마노라'라고 불렀다.
따라서 왕자와 왕녀를 부를 때에는 '자가' 경칭을 사용해야 바른 고증이다. 왕자를 '대감'이라 부르는 작품도 간혹 있으나, 실제 기록을 살펴보면 왕의 아들은 보통 '자가'라고 불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