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B&W 인수, 하만카돈 인수후 하만카돈의 변화로 예측한 앞으로의 전망
작성자 정보
- 익명희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87 조회
- 목록
본문

삼성전자는 2025년 5월, 자회사 하만(Harman International)을 통해 미국의 의료기기 기업 마시모(Masimo)의 소비자 오디오 사업부를 3억 5천만 달러(약 4,8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이번 인수로 삼성은 Bowers & Wilkins, Denon, Marantz, Polk Audio, Definitive Technology, Classé, HEOS, Boston Acoustics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들을 소유하게 되었습니다 .
인수 개요
인수 주체: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 인터내셔널
인수 대상: 마시모의 소비자 오디오 사업부 (Sound United)
포함 브랜드: Bowers & Wilkins, Denon, Marantz, Polk Audio 등
인수 금액: 3억 5천만 달러 (약 4,800억 원)
인수 완료 예정 시점: 2025년 말 (규제 승인 절차 후)Darko.Audio 1Cult of Mac 1
포함된 주요 오디오 브랜드
• Bowers & Wilkins (B&W):
1966년 영국 설립, 세계 최고 수준의 하이엔드 스피커 브랜드
Nautilus, 800 시리즈 D4, PX 시리즈 무선 헤드폰 등으로 유명
• Denon:
일본 브랜드로 AV 리시버, 앰프, CD 플레이어 분야에서 강세
헤드폰과 홈시어터 시장에서도 기술력 보유
• Marantz:
1953년 미국에서 출발한 고급 오디오 브랜드
오디오 애호가 사이에서 고음질 프리앰프·리시버로 평가 높음
• Polk Audio, Definitive Technology:
미국의 사운드바 및 홈시네마 중심 브랜드
중저가 홈오디오 시장에 강한 영향력
• HEOS, Classé, Boston Acoustics:
HEOS는 무선 멀티룸 오디오 플랫폼
Classé는 오디오파일 전용 하이엔드 앰프 전문
삼성의 전략적 의도
글로벌 오디오 시장 리더십 강화: 삼성은 하만 인수를 통해 JBL, AKG, Harman Kardon 등 기존 브랜드에 더해, 새로운 프리미엄 브랜드를 확보함으로써 소비자 오디오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입니다 .
제품 통합 및 시너지 창출: B&W와 Denon 등의 기술력을 삼성의 스마트폰, TV, 사운드바, 무선 이어폰 등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하여, 고품질 오디오 경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
자동차 오디오 시장 확대: 하만의 자동차 전장 사업과의 시너지를 통해, 고급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 삼성의 하만 인수 사례 요약 (2016년)
• 2016년 삼성전자는 미국의 차량 전장 및 오디오 전문기업 하만(Harman International)을 80억 달러에 인수함
• 인수 당시 JBL, AKG, Harman Kardon 등 글로벌 오디오 브랜드와 자동차 전장 사업부를 함께 확보
■ 인수 이후 실제 전개된 주요 상황
• 핵심 오디오 기술 인력의 다수 이탈
AKG 빈 연구소 해체
다수 엔지니어가 오스트리안 오디오(Austrian Audio) 설립
고유 기술 계승보다 브랜드 네이밍 활용 중심으로 전환
• 소비자용 오디오 기술 개발 정체
TV, 갤럭시 스마트폰 등에 ‘AKG 튜닝’ 제품만 제한적 활용
혁신적인 오디오 신제품 발표는 미미
하만 산하 하이파이 오디오 부문 투자 축소
• 전장 사업 집중 전략
Harman Automotive와 Connected Car 중심으로 재편
BMW, Mercedes 등 고급차 브랜드에 차량용 오디오 공급 강화
삼성 디스플레이·전장 계열사와의 통합 전략 중점
■ 현재 우려 및 향후 예상 흐름
• 기술 인력 유지 여부 불투명
공식 발표에서는 “우수한 인력과의 협업” 강조했으나, 구체적 인력 유치 전략은 공개되지 않음
과거 하만 인수 사례를 감안하면 핵심 R&D 조직 축소 가능성 있음
• 고유 브랜드 정체성 훼손 우려
B&W, Marantz는 수십 년간 독자적인 음향 철학을 발전시켜온 브랜드
삼성 제품군(예: 사운드바, TV)에 단순 브랜드 통합 형태로만 활용될 경우, 본래 음향 철학이 훼손될 가능성 존재
• 기술 개발 투자 감소 가능성
하이엔드 오디오 시장은 수익률이 낮고 R&D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됨
삼성은 수익성 중심의 전략을 고수해왔으며, 고급 오디오 개발 지속 여부는 불투명
• 전장 및 플랫폼 통합에 집중할 가능성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사운드바·TV와의 통합 플랫폼 구축 등
브랜드의 고급화 이미지를 전장 포트폴리오 확대에 활용할 가능성
■ 결론
• 삼성은 B&W 등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 인수를 통해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으나, 상업적 활용에 초점을 둘 가능성이 높음
• 과거 하만 인수 후 벌어진 기술 인력 유실, 정체된 혁신, 브랜드 이름만 남은 운영 방식이 다시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은편
• 실제 기술 리더십과 제품 철학을 지키며 브랜드를 살려낼 수 있을지는 향후 1~2년 간 하만의 운영 방향에 달려 있음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