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 태음병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842 조회
- 목록
본문

.


변에 잡예물이 있거나, 하루 2-3회의 배변횟수 혹은 연 2일 이상의 설사를 의미한다. 구는 오심,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을 의미한다 (Table 2). 태음병비만증은 장중경 상한론 사심탕증, 수결흉 증 및 한실결흉의 심하비만을 주증상으로 하는 병증 군으로 식불하, 심하비만 등이 표준증후이다. 食不下 는 소화불량, 조잡 등을 의미하며, 심하비만은 심하부 위의 답답함, 복진상 중완부위의 압통 등을 의미한다 (Table 2). 태음병중증 중 태음병황달증은 음황을 주증상으 로 하는 병증군으로 음황, 위황 등이 표준증후이다. 위황은 面萎黃 등의 피부색택의 변화, 소기 등을 의 미한다 (Table 2). 태음병부종증은 부종, 식소를 주증상으로 하는 병 증군으로 부종, 복창, 소변불리 등이 표준증후이다. 이 중 腹脹은 타각적인 복만감을 의미하고, 浮腫은 수족부종, 안면부종 등을 의미한다. 小便不利는 만 성적인 배뇨양 감소, 잦은 소변횟수, 잔뇨감, 잦은 야 간뇨 등을 의미한다 (Table 2). 태음병음독증은 음독증을 주증상으로 하는 병증군 으로 面靑, 身痛如被杖, 四肢厥冷, 踡而臥, 鄭聲 등이 표준증후이다. 面靑皮膚紫癍은 면청, 순청, 어 두운 자주빛의 피부질환 등을 의미한다. 身痛如被杖 은 몸살, 신체통 등의 증상을 의미한다. 四肢厥冷은 주관적 및 객관적 수족냉증을 의미한다. 靜踡而臥 鄭聲은 웅크리고 누워만 있으려고 함 또는 끙끙 앓는 소리를 냄 등을 의미한다 (Table 2). 본 연구의 한계점은 기존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대 부분의 임상지침 권고안이 전문가의 합의와 동의수세 보원 등의 원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는 점이다. 특 히, 소음인 태음병과 관련된 임상논문의 수가 적었으 며, 그 마저도 증례보고 1례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아, 임상진료지침의 근거를 작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 었다. 또한, 치료법 기술에 있어 처방을 위주로 제시했 다는 데 있다. 하지만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처치도 많이 활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언급이 필요하다. 이 임상지침에 대한 연구를 근간으로 많은 좋은 임상 연구들이 시행이 되고, 또 이러한 임상연구들이 임상지침에 대한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MW Hwang et al. 53 太陰病 太陰病輕證 太陰病重證 근거 靜踡而臥 鄭聲r 인건이 없음. 소음수, 희온음함. 註e. 입안에서 느끼는 답답함이 없음, 식욕이 저하되지 않음 註f. 주관적인 제복부 통증, 복진상 제복부 압통 증가 註g. 묽은 배변상태(Bristol type 5~7) 로 잡예물이 있음. 하루 2~3회의 배변횟수 혹은 연2일 설사 註h. 오심, 구역, 구토 註n. 만성적인 배뇨양 감소, 잦은 소변횟수, 잔뇨감, 잦은 야간 뇨 등 註o. 면청, 순청, 어두운 자주빛의 피부질환 등 註p. 몸살, 신체통 註q. 주관적 및 객관적 수족냉증 註r. 웅크리고 누워만 있으려고 함 또는 끙끙 앓는 소리를 냄 등 食慾 低下 低下 低下 문헌적 근거 ․太陰病은 胃弱(大腸寒氣에 의한 胃中溫氣 핍박)을 기본으로 한 裏寒을 특징으로 하여 食慾 및 消化지표가 初證부터 두드 消化 러지게 출현함. 不良 / 心下痞滿, 或 嘔 不良 / 心下痞滿, 或 嘔 不良 / 心下痞 滿, 或 嘔 문헌적 근거 大便 軟-泄瀉 軟-泄瀉 軟-泄瀉 문헌적 근거 ․胃弱(大腸寒氣에 의한 胃中溫氣 핍박)으로 인해 출현(表病은 胃實(胃不弱)과 大腸寒氣의 강성으로 인해 大便秘燥화 하게 됨. 즉, 泄瀉의 시작은 胃弱으로부터 시작) 口乾 平 平 口微乾 문헌적 근거 ․太陰病은 胃弱에 머물러 裏寒을 특징으로 하여 口中和 단계 에 머무름. 飮水 不欲飮水 不欲飮水 不欲飮水 문헌적 근거 ․胃弱 및 胃寒으로 인하여 不欲飮水하거나 冷飮卽泄하게 됨. ․逆證의 不能飮水 단계에는 이르지 않음. 汗 無汗 無汗 無汗 병리적 추정 ․太陰病은 胃弱에 머무르며 아직 脾弱(脾局陽氣 손상)에는 이르지 않음. 小便 平 혹 量減少 平 혹 量減少 量減少 병리적 추정 ․太陰病 末證에 이르러 胃弱(大腸寒氣에 의한 胃中溫氣 핍박) 이 심화돼 飮水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여 체내에 정체되고, 飮水量에 비해 小便量이 감소, 腹脹부터 시작하여 전신부종 에 이르게 됨. 그러나 小便에 熱狀을 띄지는 않음. ․初證과 中證의 黃疸病에서는 이의 초기 단계(일부 약간의 소변량감소와 말초성 부종이 출현)이나 심하지 않고, 특히 중증에서 ‘利小便之黃’은 少陰人黃疸에서 제외되므로 두드 러진 小便量감소와 浮腫은 末證에 나타나게 됨. 寒熱 身寒 / 畏寒 身寒 / 畏寒 身寒 / 畏寒 문헌적 근거 ․表熱의 병리(腎陽困熱) 없이 胃弱 및 胃寒의 裏寒병리가 나타남. 性情 睡眠 或 淺眠 或 淺眠 或 淺眠 병리적 추정 ․‘不安定之心寧靜 則脾氣 卽活’하니 아직 脾弱(脾局陽氣 손상) 의 상태에는 이르지 않아 두드러진 심병증의 출현은 드물게 나타남. 脈診 沈遲 沈遲 微弱, 沈細遲 병리적 추정 ․裏寒證에 胃弱(胃寒)한 상태이므로 沈遲 등을 기본 맥상으 로 함. ․末證에 이르러 胃弱의 심화로 微弱細한 맥상이 동반되어 나타낼 수 있음. 舌診 舌淡紅 苔白 舌淡紅 苔白微厚 舌淡紅 苔白微厚 병리적 추정 ․裏寒證에 胃弱한 상태를 반영 舌質紅 및 有舌苔를 나타낼 수 있음. 腹診 心下痞滿 腹滿 腹痛 心下痞滿 腹滿 腹痛 心下痞滿 腹滿 腹脹 腹痛 병리적 추정 ․胃弱(胃氣虛弱)과 胃寒을 기본 병리로, 心下部 腹證이 주로 나타남. ․大腸局寒邪의 熾盛으로 인한 臍腹部 및 少腹部의 腹滿, 腹脹, 壓痛 등이 주로 나타남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