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유럽의 살인마 페스트 , 시칠리아에서 시작한 전염병의 공포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지중해 아름다운 휴양지 시칠리아

기암절벽의 완벽한 조화가 있고  에트나화산이 있다.

먹거리는 완벽하다.

 

지중해 중심지기 때문에 교류와 침략이 많았고

전염병도 쉽게 번질 수 있는 곳이었다.

 

중세 유럽을 패닉에 빠지게 한 흑사병도 마찬가지이다.

 

새까맣게 타들어가는 병이다.

순식간에 퍼졌는데

유럽은 그 위험적 요소들이 많이 있었던 것이었다.

 

데카메론이 14세기의 페스트 병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학창시절부터 교육이 된다.

 

14-17세기가 가장 암흑의 시기였다.

 

시칠리아에서 유럽에 확산되었다.

1347년 10월.

 

유령선처럼 메시나항에 배가 도착했는데 끔찍한 시체들이 가득 있었다.

마치 악마가 한 짓으로 생각할 정도 였다.

그 이후 사방으로 퍼진 것이다.

전유럽에 퍼지게 되고, 검은색 죽음이 퍼졌다.

불과 2-3년 만이었다.

옛날에는 10년 동안 역병이 퍼졌는데, 즉 1.6KM를 하루에 가는 정도의 속도였는데

페스트는 엄청난 속도로 파급되었다.

 

사실 먼저 단초가 되었던 것은 크림반도에 있는 카파 였다.

동서양교류가 활발한 전략적 요충지인데

몽골군이 침략했다.

카파를 차지해 유럽으로 진출하려고 했었다.

이때 몽골군에게 퍼진 이상한 질환들.

카파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몽골군에 의해 이탈리아 사람들에게 페스트균은 전파되었다. 몽골군은 어떤 방법으로 페스트균을 옮겼을까?

트로이 목마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89e19fbb113c9b729ae500779ffb5fbdb7c07815nxj0.png

전쟁에 지친 몽골군은 페스트가 많아졌고

퇴각을 결정할때

페스트로 사망한 시체를 투석기로 카파 내의 성안으로 던져버렸다.

 

제1호 세균전인 셈이었다.

 

페스트의 원인은 세균이다.

감염경로는 쥐 설치류 쥐벼룩등과 연관이 있다.

사람에게 쥐벼룩을 옮기게하여 

곰쥐라고 불리는 쥐는 페스트에 매우 강하다.

이 쥐가 유럽으로 퍼뜨렸다는 학설도 있다.

이것은 사실은 아닌것 같고 사람간의 감염으로 급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유럽인구의 1/3이 사망했다.

e5f665b7c765a61b5dc911d924b9a02e84f25f59l87o.png

체코의 세드렉성당 내부의 장식물은 무엇일까?

 

페스트로 죽은 병사들으 ㅣ유골을 장식했다.

 

a3348f0bd639f0eb431bc1a86dd659dd8be356fb4isc.png

 

6336c632fa2c0291559d9bcc5fcaa0351de4a7489tqo.png

 

예루살렘의 흙을 뿌려서

사람들이 저곳에 묻히길 원했었다.

그들의 영혼을 기리고 달리기 위해 유골로 내부를 곳곣에 장식한 것이다.

 

근데 왜 이리 빨리 퍼졌을까?

적합한 환경

그 시기는 소빙기로 춥고 음습했다.

기근 흉작이 반복되고 면역력이 약해진 시기였다.

 

두번째는 중세시대 위생환경이었는데 최악이었다.

굉장히 더러운 시기였다.

 

치료에 대한 의지가 교회밖에 었었기에 더더욱 쉽게 병이 파급되었다.

신의 형벌이라고 여겨 회개하러 교회에 갔던 것이다.

대규모 집회를 하면서 더 빨리 감염되었다.

 

33fd39ad22703b6393b69b31fa283f5c6e307e93g4jv.png

 

자해하는 이들이 돌아다니면서 슈퍼전파자가 되기도 했다.

 

유대인들이 병의 원인제공자라고 고문 학대를 받았다.

1d2b1dccf754f3d51308df7e61c2f0b06e42bb370xho.png

 

라고 자백한 유대인이 생긱게 되었다. 물론 고문이 원인이다.

허위 자백이 꼬리에 꼬릴를 물어, 유대인들이 학살당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후 부익부빈익빈이 더욱 심각하게 되었다.

가난한집 여자를 고용하여 이사갈 집에 미리 살아보는 방법을 쓰기도 했다.

 

그렇다면 유럽은 페스트를 어떻게 극복했을까?

 

 

물랭은 파리의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부르봉왕가의 수도였다. 인구 2만으 ㅣ작고 아름다운 도시이다.

아기자기한 유럽마을이다.

20b13c502dd10e8a0d5f71a9b9a9951ea87e6dd7j89v.png

페스트의사. 까마귀 같은 복장인데

샤를 드 로름, 루이13세의 수석의사이다.

통자모양의 가운, 머리전체를 뒤집은 부리같은 모양의 마스크 및 방호복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새부리는 향료, 허브 식초 등을 넣어 소독역할을 하였다. 냄새와 균을 막는 용도이다.

 

페스트 치료법을 뉴튼이 제시한 적이 있다.

그의 자필 원고에 고안한 페스트 치료법이 쓰여있었는데

두꺼비의 토사물을 이용해서 페스트를 치료할 수 있다고 밝힌바 있다.

 

두꺼비를 굴뚝속에 3일간 거꾸로 놓는다.

죽은 직후 분말로 만들어 토사물과 섞어 약을 만든다.

상처에 환부에 바르면 독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런 황당한 치료법을 왜 얘기했을까

독도 약이되고 약도 독이 될수 있다.

용량이 약과 독을 결정한다는 이야기처럼

두꺼비는 독이 많은 동물이어서 그런 접근을 한 것 같다.

 

도둑들은 왜 페스트에 걸리지 않을까?

1628년 프랑스 문서

페스트 안걸리는 비법을 알려주면 사면해주겠다.

도둑들은 마스크를 쓰지는 않았다. 사실은 식초를 이용하였는데,

식초를 온몸에 바르는 것에서 효과가 있었다.

식초샤워 식초음용이 방법이었다.

 

식초는 아세트산이라는 약산성물질이다. 살균효과가 약간 있었기 때문이다.

식초를 업그레이드하여, 4인 도둑의 식초라고 네이밍해서 만들어 팔았다.

 

복합적인 요인으로 종식

환경개선, 다수 사망으로 인한 상대적 풍요, 등등 복합적 요인으로 페스트는 종식되었다고 추측한다.

 

중세 두가지 축이 무너졌다.

기독교/ 봉건제도가 무너지기 시작한 것이다.

페스트를 피해 달아났던 귀족과 달리

힘없는 자들은 다치고 유대인은 학살당했다.

농노들이 죽어가며 경제 그 자체였던 자원이 없어진 것이다.

생산인구가 없어진 것이다.

당연히 임금이 상승하고 살아있는 농민의 계급이 차차 높아지게 되었다.

다른 한편 밀재배보다 포도 같이 노동이 집약적이지 않은 상품으로 변화되었고

노동력의 가치를 스스로 알게 되었다.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인간을 발견하는 르네상스로 발전하게 되었다.

a46b8c1727ae91f105b9a907e66cc31f85706c18egln.png

어려움을 극복하고나면

화려한 포스트 시대가 올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1

익명희망님의 댓글

  • 익명희망
  • 작성일
그 흑사병이군요,...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