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소사 전나무숲길 무장애탐방로 / 내변산 트래킹 트랰킹 등산 코스 정리 /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534 조회
- 목록
본문
노약자가 많아서 일단 2시간 이내 코스를 1,2시간 이내로 구분해서 먼저 정리해본다.
1시간 이내코스
1) 개암사 탐방지원센터 회귀코스 (1시간)

2) 내소사전나무길

2시간 이내코스
1) 내소사탐방-관음봉 회귀코스 (2시간)

2) 내변산탐방지원센터 - 직소폭포 (회귀코스) , 2시간

직소폭포 내변산 내소사를 다 보기는 어렵고
노약자들이 많은 경우
한두시간 잡고 내소사를 주로 보는게 나을 것 같다
내소사는 무슨 볼거리가 있을까?
**삼층석탑 - 전북유형문화제 제124
**전나무숲길 - 전나무숲길을 보려면 주차문제로 조금 일찍 나서는 것이 좋다
**대웅보전 - 보물 제291호
**영산회괘불탱 - 보물 제1268호
**고려동종 - 보물 제277호
**법화경절본사본 - 보물 제278호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이다. 대웅보전은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조선 인조 11년(1633) 청민대사가 절을 고칠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지붕은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장식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인데, 밖으로 뻗쳐 나온 부재들의 포개진 모습은 조선 중기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웅보전의 꽃문살에서 당시의 뛰어난 조각 솜씨를 엿볼 수 있으며, 불상 뒤쪽 후벽에는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것 중 가장 큰 ‘백의관음보살좌상’이 그려져 있다. 대웅보전 현판은 원교 이광사((圓嶠 李匡師 1705~1777)가 쓴 글씨이며, 부속암자로는 입구의 지장암과 청련암이 있다.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로 지정된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보물 고려동종(高麗銅鐘), 보물 법화경절본사경(法華經折本寫經), 보물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요사채, 설선당(說禪堂), 삼층석탑이 있으며 내소사 일원은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일주문에서 시작되는 600m의 전나무숲길은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사계절 색다른 모습으로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
내소사(부안)> 여행지 | '열린 관광' 모두의 여행:대한민국 구석구석 (visitkorea.or.kr)
**내소사 무장애 탐방로 노선

식당가가 400m, 전나무숲길이 400m

https://blog.naver.com/kayak71/222527448392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