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국가소득 무엇으로 그들은 많이 버는가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082 조회
- 목록
본문
[세계의 强小國 탐방] 작지만 강한 나라 핀란드, 국가경쟁력 1위의 비결은? : 월간조선 (chosun.com)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0807100062
핀란드는 한국과 달리 ‘경쟁’에 대한 시각이 다르다. 우리나라는 경쟁력을 ‘남들보다 빨리 뛰는 것’을 가리킨다면 핀란드는 ‘모두 함께 잘 달리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반도의 1.5배(33만8000㎢), 인구 527만 명에 불과한 핀란드가 세계 최고의 국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팀워크’에 있다.
핀란드는 유치원 때부터 혼자서 하는 프로그램보다 같이 하는 것이 더 많다. 대학시험도 개인의 실력과 능력을 평가하는 항목과 3~4명이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해 평가받는 항목이 있다. 필자가 공부했던 헬싱키예술디자인대학교도 입학시험이나 재학생 기말고사 때 개인평가와 함께 반드시 단체(팀)평가가 있다. 학생들은 좋은 점수를 받으려면 팀원끼리 수시로 만나 얘기하고 정보를 교환해야 한다. 아무리 혼자 능력이 뛰어나도 조직과 협력해 시너지효과를 내지 못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 학생들은 공부보다 더 중요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인정’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핀란드는 한마디로 학교에서부터 독불장군식의 인간을 만들어내지 않는다. 따라서 어른이 되어서도 국민들 사이에 ‘억지 문화’나 ‘떼쓰기 문화’를 찾아보기 힘들다.
핀란드 | 1인당 국내총생산 | 1960년 – 2023년 | 경제 지표 | CEIC (ceicdata.com)


2012년 기준 핀란드 수출구조, 파란색이 제조업, 붉은색이 건색재료-장비산업, 회색은 미분류, 주황색은 펄프-종이 관련 산업, 보라색은 의료-화학관련 산업
https://www.ceicdata.com/ko/indicator/finland/gdp-per-capita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