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상복부초음파 의학용어를 알아봅니다.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63 조회
- 목록
본문
up to ti : ti=terminal ileum (대장의 시작부위 부터 항문 끝까지를 검색했다는 뜻)
av : anal verge (용종이 anal verge로 부터 몇 cm정도에 위치했나를 기록할 때 자주 사용)
mucosal break + =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에서 내시경 소견은 아주 약간만 중요하고 증상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증상이 뚜렷한가가 더욱 중요하겠습니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122728/
mucosal break의 정의
an area of slough or erythema clearly demarcated from the adjacent normal appearing mucosa
인접한 정상 점막과 명확하게 구분되는 인설 또는 홍반 부위
The LA classification system has long been widely used for endoscopic diagnosis of GERD [1]. GERD had conventionally been diagnosed mainly by the presence of erosion or ulcer until the concept of mucosal breaks was proposed in the LA classification. Since the proposal of LA classification, endoscopic diagnosis of GERD has been based on the presence of mucosal breaks. GERD is also classified as grade A to D according to the length or extent of mucosal breaks. Grade A is defined as “mucosal injury limited to the mucosal folds that is no larger than 5 mm in extent.” If grades A and B are considered mild and grade C and D severe, then most Japanese patients would have a mild form of GERD
LA 분류 체계는 오랫동안 GERD의 내시경 진단에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1]. LA 분류에서 점막 파열의 개념이 제안되기 전까지 GERD는 주로 미란이나 궤양의 유무에 따라 진단되었습니다. LA 분류가 제안된 이후 내시경 진단은 점막 파열의 유무에 따라 GERD를 진단하고 있습니다. GERD는 또한 점막 파열의 길이 또는 정도에 따라 A~D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A 등급은 “점막 주름에 국한된 점막 손상으로 그 범위가 5mm 이하인 경우”로 정의됩니다. A와 B 등급을 경증, C와 D 등급을 중증으로 간주하면 대부분의 일본 환자는 경증 형태의 GERD를 앓고 있는 것입니다.
http://endotoday.com/endotoday/20120507.html
통상 위주름의 근위부를 EGJ으로 간주
https://blog.naver.com/uhahaha_03/10088901426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lJ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 식도내시경(esophagoscopy)
-위 내시경(gasroscopy)
-식도위십이지장 내시경(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CSG = chronic supefficial gastrilitis 만성 표재성 위염
CAG = chronic atrophic gastrilitis 만성 위축성 위염
renal cyst 신장낭종 Lt. kidney
0.93cm hyperechoic well-defined lesion in dome of liver
0.73cm sized anechoic well-defined lesion in Lt kidney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