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2

한국판 플라자합의, 제2차 플라자합의 가능할 것인가?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주변국 스트롱 맨(strong man) 체제 속에 고개 드는 '한국판 플라자 합의' 논쟁… 국내 증시에 주는 의미와 영향은? > 이 달의 경제 이슈 | 미래에셋증권 웹진 (miraeasset.com)

 

가장 눈에 들어오는 것은 '한국판 플라자 합의' 논쟁이다. 플라자 합의란 1980년대 초 국제수지 불균형의 주범인 미국과 일본 간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엔화 강세를 유도하기 위한 합의를 말한다. 10년 동안 지속됐던 플라자 체제에서 엔·달러 환율은 240엔대에서 79엔대로 폭락했다.

1980년대 후반까지만 하더라도 일본 경제는 소니와 도요타로 대변되는 막강한 제조업 경쟁력으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플라자 합의 이후 급속히 진행된 엔화 강세의 부담으로 '디플레이션 탈피'를 공식 선언한 지난달까지 장기간 침체를 겪었다.

제2 플라자 합의 대상으로 거론되는 국가는 중국과 한국이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마찰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가운데 위안화 가치가 연일 절상되고 있다. 시진핑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는 중국 환율제도 특성상 위안화 가치를 올려 고시하는 것은 미국과의 무역마찰을 의식한 것이 아니냐는 시각에서 플라자 합의 가능성이 나오는 배경이다.

 

**중국판 플라자합의가 되면, 거의 연동되다 시피하는 원화는 같이 절상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판단됩니다.

 

 

 

 

한국판 플라자 합의 논란… 환율 주권 지켜야 | 한국경제 (hankyung.com)

제2 플라자 합의 대상으로 거론되는 국가는 중국과 한국이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마찰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가운데 최근 위안화 가치가 연일 뛰어오르고 있다. 시진핑 정부 의지가 반영되는 중국 환율제도 특성상 위안화 가치를 올려 고시하는 것은 미국과의 무역마찰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시각에서 플라자 합의 가능성이 나온다.

 

 

 

 

 

[역사속 경제리뷰] 플라자합의 - 파이낸셜리뷰 (financialreview.co.kr)

플라자 합의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대미 수출이 위축되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공산품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3저 호황까지 겹치면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었고, 우리나라 물건이 해외에서 없어서 못판다고 할 정도였다.

이를 바탕으로 1990년대 이른바 오렌지족, X세대 등 과거 기성 세대와는 또 다른 세대가 출현하게 됐고, 그것이 문화적 바탕을 이뤄내면서 오늘날 K-한류의 밑바탕이 됐다.

출처 : 파이낸셜리뷰(http://www.financialreview.co.kr)

 

 

 

중국 무너뜨릴 처방전은 '제2 플라자 (brunch.co.kr)

 

 

2차 역플라자합의, 엔고 저지 및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

08520110321_B_202473_169.pdf (bondweb.co.kr)

지난 1995년 1월 일본 고베 지진 이후에도 엔저를 유도하기 위한 G7 합의(1995년 4월)를 ‘역
플라자합의’라 한다. 이번에도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나타난 G7 합의가 엔화 강세를 저지하
기 위한 것인 만큼 이를 ‘2차 역플라자합의’로 볼 수 있다. 2차 역플라자합의가 지난 1995년
처럼 엔고 저지에 성공할 것인지, 오히려 엔저로 이어질 것인지 주목된다.  

 

 

a4313259c68078c7f11530169a0f6e3c3c2ddcf3iwn0.png

[1995.04.01] 미국-일본, 역플라자 합의 · 1997 외환위기아카이브 (97imf.kr)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10년 동안 일본의 엔고가 계속되었다. 반대로 미국의 약한 달로도 계속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1995년 G7 국가 간에 엔저 유도를 합의한 '역 플라자 합의'가 이루어 졌다. 주요 내용으로는 엔-달러 환율을 100엔 선으로 회복하고, 미국이 일본에 대한 통상 압력을 보류하는 대신 일본은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내수를 늘리기 위해 재정 확대 정책을 편다는 것이다. 한편, 역 플라자 합의를 통한 엔저 유도는 달러 가치의 상승을 의미했다. 이것은 미국 경제정책 방향이 금융과 무역통상에서 금융 우위 전략으로 선회했다는 것을 뜻한다. 역 플라자 합의는 달러 강세가 미국 이익에 부합한다(금융을 통한 지배)는 주장과 달러 약세를 통해 경상수지 적자를 감소시켜야 한다(통상 압력을 통한 지배)는 주장이 맞선 미국 내 이데올로기 경쟁에서 금융 지배파의 승리를 의미한다. 즉, 통상을 통한 문제해결 방식을 버리고 금융을 통해 세계의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정책 전환인 것이다.

 

 

 

 

[달러는 어디로] ①신자유주의·역플라자합의의 ‘저주’ < 경제 < 경제·국제 < 기사본문 - 이코노믹리뷰 (econovill.com)

1990년대 후반 아시아외환위기가 역플라자합의로부터 시작됐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그 결과, 강한 달러와 약한 아시아 통화의 구도가 형성됐다. 역플라자 합의와 아시아외환위기는 달러의 위상을 드높인 주역이었다.

한편, ‘강한 달러’의 등장과 동시에 1999년 유로존이 출범하고 유로존에 속한 국가들이 사용하는 단일통화인 유로화도 그 모습을 드러낸다. 유로화는 유로존 국가를 중심으로 달러 패권 체제를 수정하고자 하는 ‘수정주의’ 성격을 갖고 태어났다.

이후 유로화는 그 목적만큼 강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으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남유럽 국가들의 부실이 수면위로 드러나면서 단일통화라는 태생적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영국은 비록 유로존에 속한 국가는 아니지만 지난 2016년 6월 유럽연합(EU)에서 탈퇴(브렉시트)하면서 또 한 번 유로화에 충격을 줬다. 이로 인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흔들린 달러화의 위상은 다시 높아지게 된다.

1990년대 후반 ‘강한 달러-약한 아시아 통화’의 구도는 지난 1971년 닉슨의 금태환 정지 선언 이후의 상황을 연상케 한다.

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1995년 ‘역프라자 합의’…韓 경제 엔저 트라우마 (dnews.co.kr)

첫 번째 시기는 1995~1997년까지다. 월평균 환율 기준 1995년 4월 100엔당 원화 가격은 918.5원이었지만 1997년 2월 704.65원을 기록했다. 23% 가량 절상됐다. 당시 일본은 엔저를 유도하는 역플라자 합의를 맺었다. 1995년 4월 ‘G7 경제장관ㆍ중앙은행 총재 회의’ 합의에 따라 엔저가 공식화했던 것이다.

두 번째 시기는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다. 100엔당 원화 값이 2004년 1월 평균 1112.68원에서 2007년 7월 755.57원이 됐다. 30% 넘게 절상된 것이다. 2004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일본이 엔화 약세를 유도하면서 원화가 엔화에 대해 큰 폭으로 절상됐다.

 

 

 

 

美 트럼프 당선되면 中 인민폐 환율 재앙 직면 - 아시아투데이 (asiatoday.co.kr)

미국의 올해 말 대선에서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중국의 인민폐 환율은 폭락이라는 대재앙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악의 경우 20% 전후 대폭락 위험에도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까지 대두하고 있다.

중국 경제에 정통한 베이징 소식통들의 29일 전언에 따르면 현재 인민폐의 환율은 1 달러 당 7.2 위안(元) 전후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처럼 상당한 강세를 보이는 것은 아니나 그래도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한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현재 수준에서 상당 기간 유지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상황은 급변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하방 압력을 강하게 받을 것이라는 얘기가 될 수 있다. 그가 재임 시에 관세전쟁 카드로 공공연히 중국을 압박, 인민폐 평가절하를 촉발시켰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분명 그렇다고 해야 한다.

 

 

 

트럼프 재집권 가능성에…위안화 시장 '긴장' | 아주경제 (ajunews.com)

실제로 트럼프 집권 당시인 2019년 여름 위안화 가치는 미-중 무역전쟁 속에 달러 당 7위안을 돌파하며 10년 만에 최저 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

위안화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은 단지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 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 내 경기 부진과, '디리스킹(위험 제거)' 기조 하에 트럼프 정부 당시 부과한 관세를 여전히 유지하는 등 대중국 압박을 이어가는 바이든 정부 역시 중국 경제 및 위안화 환율에 대한 부담 요인이다.
 

1e93ace9464bdb2bf828466d3edde8e8e8e80e32j8xi.pngc43c5e6c65b8c0da1dc90f8b05582a7de43120adqr8d.png

 

 

d9e299d6ed8974a870128070386dc46480770ac8j5di.png

 


뿐만 아니라 미국 대선까지 9개월 가량 남은 상황에서 대다수 위안화 트레이더들이 아직 관망세를 취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미 대선 상황에 따라 위안화 변동성이 더욱 커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be93182a8bb2b93227f922b1e421f4397d398c0e1d3q.png

사안별 발생 가능 이슈 및 대응방안 ㅇ (환율조작국 지정)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한국도 지정될 가능성이 큼 - 한국이 빠지고 중국만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대중수출의 7~10% 가량이 타격을 받게 되며, 한중간 경쟁관계에 있는 수출 품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음 ㅇ (무역구제) 반덤핑 제소의 경우 중국산 제품과 한국산 제품에 대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피해 우려- 특히 반덤핑 조치의 경우 중국내 제조후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과 한국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되는 경우 모두에 해당되므로 사안별로 파악 및 대응 필요 ㅇ (경제협력) 미중간 경제협력 분야 협상과 사업 진행은 당분간 부진할 가능성이 많으나 서로 필요한 분야이므로 조만간 진전 가능성도 있음 - 미중간 협력 부진은 한중 FTA를 통해 다양한 협력통로를 마련한 한국에 기회가 될 수 있음 - 과거 미중간에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분야를 중심으로 한 중간 협력 가능 분야 발굴 필요 ㅇ (통상협정) 미국의 통상협상 정책이 소극적으로 전환되고 미중간 통상 협상도 부진해 질 가능성이 많은 가운데 우리의 기회와 환경이 바뀔 수 있음- TPP가 폐기되고, 미국이 참여하지 않은 가운데 RCEP 협상이 중국 주도하에 진행되므로 한국이 적극적 역할 발휘가 유리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