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플라스틱의 종류와 재활용 방법에 대해서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플라스틱의 물리 화학적 특성

 

7f11a9ddd6e4df4e6c7e892a5bca098a1b09810foaf7.png

 

Plastic Coding System Guide For Resin Types

4d97a5429daec2e1749be0aa9c6f16e3bf06ce1021q6.png

Plastic Coding System Guide For Resin Types - Polychem USA (polychem-usa.com)

 

 

 

326902802d6a7501a3ac60db7926a1299b04432c3s1f.png

우리나라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근거해 분리배출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 조항은 2002년 2월 4일 전부 개정되었으며 2008년 3월 21일 일부개정을 통해 분리배출표시제의 법적 근거가 되고있다.

 

cc2f4c862d724d0f01bb12aa2ec60fe34d2202d3dhpg.png

공공시설 분리수거장엔 “플라스틱” 공간에 모든 플라스틱류의 제품이 폐기된다. 가정 역시 분리수거 할 땐 구분 없이 플라스틱 제품을 한 곳에 담아 버린다. 같은 재질의 플라스틱이 모여 재활용돼야만 고품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이 합쳐져도 재활용은 가능하나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이 합쳐질수록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은 떨어진다.

플라스틱 음료의 경우 뚜껑은 PP 혹은 HDPE 재질이고 라벨은 페트 혹은 PP(폴리프로필렌) 재질이 사용된다. 음료병 본체는 페트 재질이 사용되는데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는 건 기본이고 플라스틱 제품을 모두 따로 분리해야만 품질이 높은 플라스틱으로 사용될 수 있다.

b77f9cf8d2774057da106519cff32c4216dcf111568o.png

음료별 음료용기, 뚜껑, 라벨의 재질이 모두 다르다ⓒ환경운동연합

[플라스틱바다]7종류로 분리된 플라스틱 수거는 모아서? | 환경운동연합 (kfem.or.kr)

 

 

 

 

5beffac9c1f92dd78eed5852be572f0b18866fe25i4r.png

플라스틱(PP,PE,PVC...) 소재의 이해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플라스틱 재활용을 잘 하는 방법

b1797309793b174d323c386c1c6e1f7cd85d5bacu58f.png90afebdc3d5be6e5e05bb7d23e0ee2519e809639f1po.png

 

c261793e4ff01adbf44a2105c20ee670978593efx40f.png

플라스틱 재활용 쓰레기,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chemi-in.com)

 

 

 

스티로폼의 정식 재질 명칭은 EPS입니다. Expanded Polystyrene의 약자입니다. 즉 PS 재질의 플라스틱을 팽창(뻥튀기) 시킨 거죠. 스티로폼은 안에 공기가 들어가서 뻥튀기된 PS 알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98%가 공기고, PS가 2%를 차지합니다. 스티로폼은 석유화학회사에서 만든 탄화수소 가스가 들어간 작은 PS 알갱이로 만듭니다.티로폼 원료가 되는 작은 알갱이를 Expandable Polystyrene bead라고 합니다. 이 비드 안에 들어 있는 탄화수소 가스를 팽창시키면 부풀어 올라서 탄화수소 가스는 빠져나가고 공기가 들어차게 되죠.  

헷갈리는 스티로폼 분리배출 방법 총정리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