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9일 주요뉴스 정리 러우 전쟁 휴전, 미 국가별 관세율 발표, EU안보독립, 토지거래허가제 번복, 쿠팡의 혁신
작성자 정보
- 익명희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2 조회
- 목록
본문
GLOBAL
01
푸틴과 트럼프 러•우 전쟁 한달간 부분휴전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에너지•인프라스트럭처 시설에 대한 공격을 30일간 중단하는 부분 휴전안 에 합의했습니다.
백악관은 또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영구적 평화에 대한 기술적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했다"전했죠.
GLOBAL
02
미 재무부의
국가별 관세율 발표
트럼프 화석 에너지 사랑에 천연가스는 1년새 160%가량 급등 스콧 베선트 재무부장관이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4월 2일에 우리는 다른 나라들에 대한 관세 명단을 내놓을 것"이라 말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다른 나라들에 가서 당신들이 미국에 손해를 끼치는 걸 중단한다면 관세 장벽을 세우지 않겠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죠.
GLOBAL
03
속도내는 EU의 안보독립
'유럽산 부품 65%이상 구매 등 회원국들의 EU내 공급망 자립 희망 최근 있었던 우크라 관련 이슈들을 계기로
유럽연합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미국에 의존하지 않고 역내 첨단 무기 확충을 골자로
5년뒤인 2030년까지 재무장'을 완수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급변할 정세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겁니다.
GLOBAL
04
엔비디아 컨퍼런스 GTC 2025
엔비디아 AI칩 로드맵 공개...내년 루빈'에 HBM4 탑재 및 피지컬AI 등 젠슨황 엔비디아 CEO가 엔비디아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인
GTC 2025* 기조연설에서 추론형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AI에 필요한 연산량이 100배 더 늘어났으며, 지난 1월 중국의 딥시크 등장으로 불거진 엔비디아 GPU 무용론은 잘못된 판단"이라 말했습니다.
GLOBAL
05
영국도 '쉬었음' 100만?
영 노동부장관, 국민, 국가 전체에 피해주는 망가진 복지 용납 못해"
영국 노동당 정부가 2030년까지 연간 50억파운드(약 9조 4천억) 규모의 복지 구조조정에 나섭니다. 과도한 복지 혜택이
청년의 일할 의욕을 뺏아가 일명 복지병'을 부추긴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이번 조정은 최근 10년사이 최대 규모의 복지 지출
삭감입니다.
KOREA
01
혼란하다 혼란해 토지거래허가제 한달 만에 번복
강남•서초·송파•용산의 모든 아파트 6개월간 토허제 지정, 갭투자 금지 서울시가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를 한달여 만에 번복하며 부동산 시장에 혼란이 야기되고 있습니다. 파급력이 큰 부동산 정책의 영향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했다는 비판 또한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3월 19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 4)
KOREA
02
1인 기업과 소상공인
국내 1인 창조기업 수 100만개 넘어서...대부분 40세 전후 창업해 폐업한 소상공인 10명 중 4명은 창업 3년 안에 폐업을 하고, 사업을 접기로 결심할 당시 약 1억원의 빛을 진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폐업 소상공인의 평균 영업 기간은 6년 6개월이며, 소상공인 폐업 사유 중 86.7%는 수익성•매출 악화로 나타났습니다.
03
아마존도 제친 쿠팡의 혁신?
"로켓프레시와 쿠플, 멤버십, 무료 혜택등 융합해 재방문을 올려 쿠팡Inc가 세계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아마존을 제치고 가장 혁신적인
유통 기업 2위에 올랐습니다. 미국의 기술•경제전문매체인 패스트 컴퍼니'가 뽑은 2025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의 유통 부문 2위에 오른 겁니다. 1위는 의류 유통사 제이크루입니다.
04
정부의 철강 구하기
원산지 세탁' 모니터링 강화, 불법 유통 수입재' 집중단속 등 정부가 제3국을 거쳐 유입되는 저가 수입 철강재 관리를 강화하고, 수입 신고 단계부터 원산지 증명을 확대해 불공정 수입 행위를 선제적으로 감시•차단하기로 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와 중국산 저가 공세로 위기를 맞은 철강업계를 위한 첫 지원책입니다.
05
프랜차이즈·배달 업계 이중가격제 도입 확산중?
사실상 제품 가격 인상과 마찬가지라 받아들여지는 이중가격제' 먹거리 가격이 줄인상되며 서민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업계를 중심으로 배달 어플 주문 가격을 매장 판매가격보다 높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 도입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복수의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이런 '이중가격제'를 도입하고 나섰죠.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