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 곽티슈, 각티슈, 갑티슈 중 어느 것이 정확한 표준국어 일까요?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727 조회
- 목록
본문
‘표준어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2항’에서는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생명력을 잃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면, 한자어 계열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고유어인 ‘곽’을 버리고 널리 쓰이는 한자어 ‘갑(匣)’을 표준어로 삼습니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물건을 담는 작은 상자’를 나타낼 때 ‘곽’으로 쓰는 것은 ‘갑’의 잘못된 쓰임이라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유갑, 성냥갑’과 같이 ‘곽티슈/각티슈/갑티슈’는 ‘갑’으로 표현하며, ‘갑티슈’는 한 낱말이 아니므로 ‘갑 티슈’로 띄어 표기합니다.
덧붙여, ‘각’은 ‘면과 면이 만나 이루어지는 모서리’를 의미하므로 ‘각’으로 표현할 수 없으며, ‘티슈’는 ‘화장지’로 순화하여 표현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곽티슈, 각티슈, 갑티슈 중 어느 표현이 정확한지요?) | 국립국어원 (korean.go.kr)
아래 이런 내용도 있다. 참나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각티슈? 곽티슈? 갑티슈?) | 국립국어원 (korean.go.kr)
국립어학원이 정의 하는 갑이란 말은 그냥 상자라는 표현이니 이젠 그냥
우유갑. 갑티슈라 하자 하는건가요?...어흥...정말 어처구니 없습니다.
그말의 정의를 누가 하는 겁니까?
결국 사람이 하는 거지요?
그러나 그 말을 정의 하기전 우리 옛선조 부터 대대로 내려 오는 말들은 그 사전적 의미를
부여 하기 이전 부터 사용되어 져 왔으면 자연스레 실생활에서 사용되어져 왔다는 사실을
아시련지요?
그러한 말들을 국립어학원에선 마치 과학적 잣대 대듯 규율의 틀에 집어 넣어 국립어학원이 원하는 대로 집어 넣고 빼고 하지 않았습니까? .... 중략.. 위 링크로 자세한 내용은 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