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2

간독성에서 주의해야할 약제들 적하수오 보골지 등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c0797a2db37ac617f1f8fdc666f267c936ece3712mjs.png
  • 본 연구는 공정서에 정량시험법 및 함량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보골지와 염초보골지에 대하여 보골지의 주성분으로 포제 후에 변화하는 성분2)인 psoralen과 그의 이성질체인 angelicin을 지표물질로 설정하여 포제 방법에 따른 성분함량 및 건조감량, 회분, 산불용성회분, 엑스함량을 비교분석하여 통일된 제법과 이화학적 규격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정량시험법 및 함량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보골지와 염초보골지에 대하여 보골지의 주성분으로 포제 후에 변화하는 성분12)인 psoralen과 그의 이성질체인 angelicin을 표준품으로 설정하여 포제 방법에 따른 성분함량 및 건조감량, 회분, 산불용성회분, 엑스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통일 된 제법과 이화학적 규격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psoralen 소랄렌이 보골지의 주성분입니다.

소랄렌은 나병, 피부병에 많이 사용된 성분입니다.

광감각제로 자외선A를 조사할 때 사용합니다.

 

소랄렌은 과용량을 사용하는 경우, 현훈, 쇠약, 흐릿한 시야, 호흡, 구토 등과 연관되고 심각한 과용량에서는 혈구토, 의식소실, 코마와도 연관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Acute liver failure associated with Fructus Psoralea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BMC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springer.com)

 

보골지는 잠재적인 간독성을 가지고 있다는 케이스 스터디

 

 

Liver injury associated with the use of Fructus Psoraleae (Bol-gol-zhee or Bu-gu-zhi) and its related proprietary medicine: Clinical Toxicology: Vol 47, No 7 (tandfonline.com)

 

보골지는 일부 개인에게 간독성과 관련이 있고, 급성 간염이 발생한 3건의 증례보고

 

 

 

de96697f87c2395a8460058cf11d386b5cd6147da4ch.png

초록 번역

한약은 특히 동아시아 국가에서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최근 한약의 잠재적 독성이 중요한 의학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약물 유발 간 손상(DILI)에 대한 보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간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한약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했습니다. 국내의 한약제제 유발 간 손상(HILI) 사례를 확인하기 위해 PubMed와 국내 전자 데이터베이스 5개를 포함한 6개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 검색을 수행하여 단일 한약 21건과 복합 한약제제 10건을 포함한 31건의 고유 보고를 도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 간세포형 손상 74.7%, 담즙 정체형 손상 10.8%, 혼합형 손상 14.5%로 구성된 97건(남성 47건, 여성 49건, 성별 미상 1건)의 HILI 사례를 확인했습니다. 원인 약재는 단일종 11종, 복합종 10종 등 총 21종의 한약재가 사용되었으며, 하수오 (39.2%)와 백선피(37.1%)가 가장 빈번한 약재였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는 간독성 위험이 높은 약초의 특징을 파악하고 종합적인 목록을 작성했습니다. 이러한 약초들이 어떤 기전으로 HILI를 유발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한국인에게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a4327350a4cf92c72715f9de90a734bd4302b606bti8.png

목적. 관련 요인의 특징과 분석을 요약하고, 폴리고넘 멀티플로룸 툰브(적하수오, HSW)와 관련된 간 손상의 예방 및 추가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HSW와 관련된 간 손상에 대한 사례 보고서 및 사례 시리즈를 체계적으로 검토합니다. 방법. 2014년 6월까지 6개의 의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광범위한 검색이 수행되었습니다. HSW와 관련된 간 손상과 관련된 사례 보고 및 사례 시리즈가 포함되었습니다. 결과. 이 리뷰는 76개 논문에서 총 450건의 사례를 다룹니다. HSW 유형에는 HSW 원물 및 가공품과 HSW를 함유한 다수의 중국 특허 의약품이 포함되었습니다. 간 손상 증상은 주로 황달, 피로, 식욕부진, 황색 또는 황갈색 소변 등 복용 후 한 달 정도 후에 발생합니다. 450명의 환자 중 간 이식을 받은 2명과 사망한 7명을 제외한 나머지 441명은 HSW 제품 복용을 중단하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후 회복되거나 간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 결론 HSW는 간 독성을 유발하며 다양한 정도의 간 손상을 유발하고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으며, 대부분 약물의 장기 및 과다 복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HSW와 관련된 간 손상은 가역적이며 적극적인 치료 후 대부분 완치될 수 있습니다. HSW 제제를 복용할 때는 간 손상에 주의해야 합니다.

Translated with DeepL.com (free version)

 

 

 

관련자료

댓글 1

한방좋아님의 댓글

  • 한방좋아
  • 작성일
작성해주신 내용 잘 알아갑니다. 행복한 날 되세요~..

인기검색어


최근글


새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