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추나 복잡추나 특수추나 차이 - 어떻게 다른 것일까요?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04 조회
- 목록
본문
-추나요법 건강보험 급여화- 추나요법 급여화에 따른 추나교육 준비에 만전 > 뉴스 | 한의신문 (akomnews.com)
단순추나는 관절의 생리학적 범위 이내에서 이뤄지는 교정치료기법으로 관절가동, 관절신연, 근막추나기법을 포함한다. 전문추나(복잡추나)는 관절의 생리학적 범위를 넘어 이뤄지는 교정기법으로 수동적 저항가동점에서 해부학적 한계 내에서 시행되는 기법으로 관절교정기법에 해당한다. 특수(탈구)추나는 관절이 제 위치에서 이탈되어 복원이 필요한 탈구에 적용되는 기법을 말한다.
제14장 한방 시술 및 처치료
1. 추나요법은 ‘추나요법 급여 사전 교육’(대한한의사협회 주관)을 이수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한 한의사가 한방 진료과목 개설 요양기관(요양병원 제외)에서 다음의 경우에 해당되어 시행한 경우 요양급여로 인정하며, 다음 외에는 비급여임.
- 다 음 -
가. 대상 질환: (별첨 3)에 명시된 질환
나. 인정 횟수: 환자당 연간 20회
※ 요양기관은 요양급여 대상인 추나요법 시행 시 추나요법관리시스템을 통해 해당 진료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하여야 함.
2. 요양급여 대상인 추나요법의 본인부담률은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별표2]제3호 라목9)·10) 및 거목에 따라 (별첨 3)에 명시된 본인부담률을 적용함.
단순추나의 정의
한의사가 손 또는 신체 일부분을 이용하여 해당 관절의 정상적인 생리학적
운동범위 내에서 관절을 가동 또는 신연시기거나 경근조직(근육, 인대, 근막,
건)을 이완 또는 강화시켜 치료하는 행위 (관절가동추나, 관절신연추나, 근막
(경근)추나 해당)
* 관절가동추나: 두법(抖;去), 요법(搖法), 염법(捻法)
* 관절신연추나: 견인법(牽引;去), 배법(背法)
* 근막추나: 안법(按法), 나법(拿法), 추법(推法), 진법(振法), 곤법(滾;去), 유법(揉法),
겹법(}凸法), 날법(捏法), 날척법(捏脊法)
복잡추나의 정의
한의사가 손 또는 신체 일부분을 이용하여 해당 관절 또는 근육(경근)조직에
단순추나기법(관절가동추나, 관절신연추나, 근막추나)을 사용하여 적절히 이
완시킨 후, 해당 관절의 변위와 기능부전의 회복을 목적으로 관절의 생리학적
범위를 넘는 고속저진폭기법(관절교정추나)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행위
* 관절교정추나(순강교정기법): 반법(搬法), 채교법(鰥躊;去), 배법(背法)
특수추나의 정의
한의사가 손 또는 신체 일부분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해부학적 위치에서 이탈
(dislocation)이 된 탈구상태의 관절을 원 위치로 복원시기는 정골(正骨)교정
기법을 적용하여 치료하는 행위
관련자료
-
이전
-
다음